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이미지
Preference and Image Perception for Color and Shape in Green Interior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of 279 participants which counted 26 cases out of total 305 participants. It is organ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of psychological effect, general awareness and the color or shape of indoor-plants in dining/living area to the preference of consumers and emotional image. 74.6% of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the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As the result of general awareness of green interior,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 green interior was organized was the shape of plants and the most selected possible amount of investment to the installation was less than 100,000 won which is not high enoug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participant’s awareness of effect of indoor-plant, 99.3% of participants which was the highest portion answered ‘Indoor-plants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the selection of five kinds of indoor-plant’s effects.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showed high interests to the green interior in dining/living area as they selected ‘Preferred’. Decoration of cut-flower and eruption are preferred as the design of dining area. The preference order of 5 types of colors for green interior was white> green> pink> yellow> r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color sensitivity of green-interior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method, white and green stimulus group highly shows the emotion of “Clam” and “Comfortable”. In addition, red and pink stimulus group feels hard the emotion, “Fancy”. Cut flower decoration was highly preferred when living area is decorated with 76.6%.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apes of green interior in living area with the order of horizontal> round> vertic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on emotional difference with green interior of living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horizontal way has “Calm”, “Comfortable” while vertical provides “Heavy” and “Strong”.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useful and positive possibility of design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consumption of indoor green-interior by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effect and awareness of indoor-plan.
I. 서론
20세기 이후 급속한 산업화 및 의학의 발달, 경제성장과 교육수 준의 향상 등으로 환경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주거선택에 있어서도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요 구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Park, 2004). 이에 현 대의 도시인들은 실내공간에 자연을 도입하고자 하는 욕구가 발생 하게 됨으로써 녹지의 확보를 통한 실내환경의 질적 향상에 큰 관 심을 기울이게 되었다(Kim, 1998). 이러한 실내식물 도입으로 얻 어지는 무의식 효과 중에서 가장 큰 기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심 리적 효과 기능이다(Lee, 1994). 현대 생활에 있어서 그린인테리 어는 심리적 안정감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 편안함 등 정서순 화에 많은 효과가 있다(Lee, 2008). 또한 그린인테리어는 식물의 색채, 질감, 형태 등과 다른 재료들과의 조화로 상징적인 적용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고, 식물을 도입함에 있어 장소 와 이용목적에 따른 적절한 녹시율의 식물 적용은 심리적 효과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Yoo, 1999). 이와 같이 다 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그린인테리어란 공기정화, 실내장식 등 의 목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내식물을 공간대비 약 2%정도로 원 예장식의 기법을 이용하여 실내에 배치, 장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http://www.nihhs.go.kr). 또한 단순히 식재 도입뿐만 아니라 식 물을 대상으로 디자인을 겸한 자연환경적 웰빙 인테리어를 그린인 테리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Kim and Han, 2007). 그린인테리 어는 공기도 정화시키고 식물의 가지나 잎은 실내 장식품이나 가 구에서 발산되는 휘발성 물질이나 공중에 떠돌아다니는 각종 실내 오염물질들도 정화시키는 기능도 탁월해, 특수한 주거 환경으로 우리사회를 보다 더 밝고 건강하게 바꿀 수 있어(Korea Landscape Architecture Newspaper, 2015) 실내에서 식물을 활용하려는 시 도가 활발하다. 현대 소비자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식물 의 생리적 특성을 고려한 장식이 이뤄져야 하는 현실 속에서 관련 종사자 및 소비자에게는 장식 색상 및 형태 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및 이미지 등의 관련성 등을 파악하여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그린인테리어로서 실내식물의 색채 및 형태에 대 한 인식과 선호도를 구명하여 실내식물 활용 정보가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연구를 실행하였다.
II. 연구방법
1. 설문 응답자 특성
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가 소비자의 인식과 심리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4.7m 2 규모의 아파트 식(食)공간 (Fig. 1) 및 거실공간(Fig. 2)에 5종류 색채와 3종류 형태의 그린인 테리어를 설치하였다. 설치된 그린인테리어를 전면에서 동일한 위 치 및 각도에서 촬영한 후 사진자료를 가지고 2014년 10월부터 12 월까지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는 관련자들 및 일반인 등 총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 응답자 305명 중 부적합한 26건을 제외한 279명의 설문 지에 대해 일반사항을 분석한 결과, 전문가 36.6%, 비전문가 63.4%, 연령층은 30대 27.0%, 40대 23.0%, 20대 18.0%, 50대 13.6%, 60대 이상 6.5% 순이었고, 직업은 주부 39.6%, 학생 24.6%, 전문직 10.7%, 공무원 9.4%, 회사원 7.9%, 자영업 5.3%, 기타 2.5% 순으로 나타났다.
2. 조사항목의 구성
설문조사 항목은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에 대한 인식, 심리적 효과, 그리고 일반사항, 식공간과 거실공간의 색채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와 감성어휘 심리(SD법)평가에 대해 구성하였다. 그린인테 리어용 실내식물의 심리적 효과에 대해서는 Kim(2012)이 사용한 산림치유효과 척도를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의 상황에 맞게 조 정하여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4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4=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하였고 Cronbach’s α= 0.856로 나타 났다.
3. 평가도구
색채 및 형태에 대한 감성어휘 심리평가도구로서 어의구별척도 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법)을 이용하였다. 어의구 별척도법은 개인의 주관적인 기호와 취향에 따라서 그 가치가 변할 뿐만 아니라 계량화하기 힘든 요소인 경관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 되고 있다(Kim, 2012; Park, 2010). SD법은 인간의 감성을 표현 하는 형용사를 가지고 인간의 심리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Osgood(1969)과 Osgood et al.(1957)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감 정 평가나 경관 평가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 에서는 경관평가용 이미지형용사(Im, 2009)와 식물에 대해 표현 될 수 있는 14쌍의 감성어휘를 이용하여 5점 척도로 나누고 평가 자로 하여금 가깝게 느껴지는 정도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였다 (Jang et al., 2011; Jang, 2013; Jang et al., 2014a). 본 실험에 사 용된 감성어휘의 Chronbach의 reliability test 결과는 α= 0.973로 나타났다.
4. 통계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sion 12.0)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α를 산출하 였다. 어의구별척도, 선호도는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린인테리어 용 실내식물에 대한 심리적 효과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 분석, 그리고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에 대한 심리적 효과와 일반 사항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에 대한 인식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 과,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 구입 경험 유무는 구입한 경험이 있 다가 74.6%로 높게 나타났다. 그린인테리어 조성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식물의 형태 42%, 관리 21%, 식물의 색채 21%, 식 물의 크기 9%, 기타 4%, 식물의 질감 3%로 식물의 형태를 가장 중 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 또한 설치 투자 비용은 10만원 미만이 44%, 10~49만원 38%, 50~99만원 13%, 100~ 199만원 3%, 200~299만원, 300만원이상이 각각 1% 순으로 나타 났다(Fig. 4).
2.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의 효과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의 효과에 대해 알아본 결과, ‘그렇다’, ‘매우 그렇다’고 답변한 대상자의 비율이 ‘실내식물은 아토피를 완 화시킬 수 있다(87.5%)’고 응답한 1 개의 문항을 제외하고, ‘실내 식물은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가 99.3%, 나머지 3개의 문 항도 90%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Table 1).
3.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 효과에 대한 문항간 상관관계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 효과에 대한 문항간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Table 2), ‘실내식물은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고 응답 한 사람들은‘실내식물은 거주자들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는 문항과 0.62이상, ‘실내식물은 아토피를 고칠 수 있다’는 문항과 0.53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실내식물은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실내식물은 인체의 자 연치유력을 높여준다’는 문항과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0.60). 이러한 결과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경우 실내식물 이 공기정화 효과와 같은 환경개선 기능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의 향 상, 심리적 안정 및 자연치유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Jang et al.(2014b)의 그린인테리어 오피스에 대 한 심리적 효과에 대한 조사에서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이 공기 정화, 아토피 치유 효과, 근로자의 작업능률 등을 높일 수 있다고 생 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im(2012)의 연구결과와도 같이 산림 치유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산림치유가 자연치유력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사무실 주변의 도시림이 있는 곳에서 근무 하는 근무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환경에서 일하는 근무자보다 직무 만족도는 높게, 직무스트레스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Shin(2007)의 연구와 같이 거주자들의 만족도와 작업 능률을 높이 는데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의 활용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4.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식공간 장식 선호도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식공간 장식의 선호도를 조 사한 결과, ‘선호한다’ 55.4%, ‘보통이다’ 27.4%, ‘매우 선호한다’ 14.7%, ‘선호하지 않는다’ 1.4%, ‘전혀 선호하지 않는다’ 1.1%순 으로 나타났다(Fig. 5).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이용한 식공간 장 식시 선호하는 디자인으로는 ‘절화장식’ 36.0%, ‘분화장식(실내 식물)’ 35.2%, ‘수경장식’ 18.0%, ‘건조화장식’ 8.3%, ‘인조화장 식’ 2.5%순으로 절화와 분화장식이 72.1%로 다른 장식보다 선호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6). 이는 Byun et al.(2008)의 분 화류를 이용한 화훼장식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에서 분화류를 이 용한 공간장식은 절화류보다 관상기간이 길어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는 결과와 같이 향후 실내 식물을 이용한 분화장식 의 소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5.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식공간 장식시 색채 선호도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식공간장식시 색채 선호도 를 알아보기 위해서 그린색, 흰색, 노랑색, 분홍색, 빨강색, 5가지색 의 식공간 장식에 대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 석 결과, F값은 10.442이고 유의확률은 0.000이므로 각 색채에 따 른 식공간 장식시 색채에 대한 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 를 보였다(Table 3). Scheffe's의 다중범위검정 결과, 흰색>녹색> 분홍색>적색>노랑색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는 Jang et al.(2011)의 실내식물의 시각적 이미지가 주는 심리 적 효과와 중요성 인식이 재 구입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에서 일반적인 꽃의 색채 선호도 조사에서 분홍색>보라색>노란 색>흰색>빨강색>주황색>청색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 과와 식공간에서의 색채 선호도와는 차이를 보였다.
6.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이용한 식공간 장식 색채에 대한 감성어휘 심리설문 반응
그린인테리어 식공간 장식의 다섯 가지 색채자극에 따른 14쌍의 감성어휘에 대한 심리설문 반응을 분석한 결과, 녹색 자극군은 “부 드러운”, “차분한”, “편안한”의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흰색 자극군은 “밝은”, “가벼운”, “차분한”, “편안한”의 감성어 휘 쪽이 높게 평가되었다. 적색군은 “따뜻한”, “강한”, “화려한”감 정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랑색군은 “독특한”, “요란 한”, “불안한”, 분홍색군은 “따뜻한”, “화려한” 감정을 강하게 느 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 흰색군의 식공간에서는 적색 군, 노랑색군을 배치한 환경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편안한”, “차 분한” 감성어휘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적색, 노랑색, 분홍색 군을 배치한 환경에서는 전반적으로 “따뜻한”, “화려한”, “불안 한”의 감성어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Table 4 and Fig. 7). 이는 녹색식물이 있는 공간에서 편안한 느낌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는 Song (2004)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실제 녹색식물, 녹 색식물 슬라이드의 시각적 자극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는 것으 로 나타났다는 Lee and Son(1999)의 보고와 같이 녹색과 흰색군 의 자극은 편안한 느낌을 주고 적색군은 강하고 따뜻하게, 분홍색 군은 화려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Jang et al.(2014)의 분화 색채 연구에서도 녹색과 흰색군은 편안하게, 분홍색은 화려 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Wang(2008)의 절화 색채 연구 에서 적색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경향 을 보였다.
7.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거실공간 장식 선호도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거실공간 장식 선호도를 조 사한 결과, ‘선호한다’ 54.0%, ‘보통이다’ 24.6%, ‘매우 선호한다’ 18.0%, ‘선호하지 않는다’ 3.4%순으로 나타났다(Fig. 8). 그린인 테리어용 식물을 이용한 거실공간 장식시 선호하는 디자인으로는 ‘절화장식’ 76.6%, ‘분화장식(화분장식)’ 10.6%, ‘수경장식’ 7.3%, ‘건조화장식’ 4.0%, ‘인조화장식’ 1.5%순으로 절화장식이 76.6.% 로 식공간(Fig. 1)과는 다르게 거실공간(Fig. 2)에 있어서 분화장 식에 대한 선호도는 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9).
8.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거실공간 장식시 형태에 대한 선호도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을 이용한 거실공간 장식시 형태에 대 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라운드형,수직형, 수평형 3가지 형태 를 선정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거실공간 장식 시 형태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F값은 56.507이고 유의확률 은 0.000이므로 각 색채에 따른 식공간 장식시 색채에 대한 선호도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cheffe's의 다중범위검정 결과, 수평형>라운드형>수직형>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Table 5).
9.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이용한 거실공간 장식 형태에 대한 감성어휘 심리설문 반응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이용한 거실공간 장식의 세 가지 형태에 따른 14쌍의 감성어휘에 대한 심리설문 반응을 분석한 결과(Table 6 and Fig. 10), 수직형은 “무거운”, “강한”, “값싸보이는”의 감성 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운드형은 “부드러운”, “가벼 운”, “고급스러운”, “편안한”의 감성어휘 쪽이 높게 평가되었다. 수평형은 “따뜻한”, “고급스러운”, “좋아하는”, “차분한”, “편안 한” 감정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IV. 적요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에 대한 심리적 효과, 일반 적 인식, 식공간 및 거실공간의 실내식물 장식시 색채 및 형태요소 가 소비자의 선호도 및 감성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응답자 305명 중 부적합한 26건을 제외한 279명의 설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린인테리어용 실내식물 구입 경험 유무는 구입 한 경험이 있다가 74.6%로 높게 나타났다.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그린인테리어 조성시 가장 중요 하게 생각하는 것은 식물의 형태였고, 설치 투자가능 비용은 10만 원 미만의 적은 금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내식물 효과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5가지 항목 중 ‘실내식물은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는 항목이 9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 공간, 거실공간의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선호도는‘선호한다’ 50% 이상으로 선호 경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식공간 장식시 선호하 는 다자인으로는 절화장식과 분화장식을 선호하는것으로 나타났 다. 식공간 5가지 색채의 그린인테리어 장식 색상에 대한 선호도는 흰색>녹색>분홍색>노랑색>적색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 린인테리어 식공간에 대한 색채감성을 SD법으로 알아본 결과, 흰 색과 녹색자극군은 “차분한”, “편안한”의 감성어휘쪽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적색과 분홍색자극군은 “화려한”감정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실공간 장식시 선호하는 유형으로는 ‘절화장식’ 7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거실공간 그린인테 리어 장식형태에 대한 선호는 수평형>라운드형>수직형 순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린인테리어 거실공간에 대한 형태감성을 SD법으로 알아본 결과, 수평형은 “차분한”, “편안한”이미지, 수직 형은 “무거운”, “강한”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식물에 대한 감성이미지, 심리적 효과 및 실내식물의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실내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디자인 방향, 소비향상 및 실내식물에 대한 긍정적이고 유용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