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기온시 학교 옥외공간 녹지특성에 따른 열쾌적 지표(UTCI, PMV, WBGT)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Themal Comfort Index According to the Maximum Temperature School Outdoor Space Green Characteristic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5):363-370
1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2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명자원환경과학과
김 정호1, 권 기욱2, 윤 용한1,
1 Departmen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Konkuk University, Chungju 27478, Korea
2 Graduate School of Biological Resources Environmental Sciences, Konkuk University, Chungju 2747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yonghan7204@kku.ac.kr
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14R1A1A2058239).
Received 2015 April 3; Revised 2015 July 25; Accepted 2015 October 13.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hermal comfort index according to GVZ of school green space. For the 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with weather elements by measuring and calculating UTCI, PMV, and WBGT according to GVZ. GVZ was in the order of Type 3 (5.68 m3/m2 ) > Type 2 (4.71 m3/m2 ) > Type 1 (3.37 m3/m2 ). The average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surface temperature, globe temperature among weather characteristics was in the order of Type 1> Type 2 > Type 3. The UTCI in the school green space was in the order of Type 1 (33.95°C) > Type 2 (33.68°C) > Type 3 (32.73°C). At Type 3 that the GVZ is higher than other Types, it is belongs to range of 26~33°C which gets normal heat stress, and other Types belong to range of 33~38°C which gets strong heat stress. The PMV was in the order of Type 1 > Type 2 > Type 3, and the estimated rate of unsatisfaction was appeared as 100%, so it is uncomfortable even in the school green space that it requires measure on heat wave. The WBGT was in the order of Type 1 > Type 2 > Type 3.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heat comfort index shows that, the higher the green ratio and GVZ are, the UTCI has negative relationship, and PMV and WBGT were analyzed as have no relationship according to green characteristics, but this result was considered as measured at green space when the temperature was at its highest so the uncomfortable feeling was also highes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green characteristics and the weather elements shows that GVZ and insolation, temperature has negative relationship,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higher the GVZ is, the solar radiation and the temperature are decreased.

I. 서론

경제성장 위주의 도시계획 및 개발은 도시민의 환경적·건강적 측면의 질적 수준의 저하를 야기했으며, 이중 대표적인 것이 열섬 현상으로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환경적 변화는 열 스트레스를 가중 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고온의 폭염현상이 나타나 고 있으며, 여름철 주간에는 높은 기온, 약한 바람, 공간적으로 불균 일한 복사조건을 갖기 때문에 인간에게 열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킨 다(Thorsson et al., 2007).

인간은 활동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기상환경조건을 중심으로 일 정한계범위 내에서 기상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적응한다. 이 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면 인간은 열 적응 시 생 리학적 및 행동학적으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열 스트레 스는 추위에 의한 스트레스와는 달리 조절을 위한 생리적 가능성이 제한되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Joo et al., 2008).

온열환경에 대한 쾌적상태란 일반적으로 열에 의해 스트레스나 긴장감을 받지 않는 환경을 의미하며, 열적 쾌적성의 정의를 미국 공조학회에서는 “열적 환경에 만족을 느끼는 마음의 상태”로 정의 하고 있다(ASHRAE, 1981). 국내의 온열환경에 대한 열적쾌적성 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실외공간보다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실외공간의 경우 온열환경 구성요소가 다양하고 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가 복잡하고 아울러 다양한 인간 활동 때문에 외부 공간에서의 물리적 특성을 계산,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Ryu et al., 2009). 이러한 외부환경을 고려하고 인 간에게 느끼는 열적쾌적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대표적으로 WBGT, PMV, UTCI를 활용되고 있다.

WBGT는 인체가 느끼는 감각적 온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주로 체육, 군사훈련, 노동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는 폭염발생피해 저감 대책 연구(Park et al., 2008), 포장유형에 따른 연구(Lee et al., 2010), 수목의 엽면적지수에 따른 연구(Ju et al., 2004)등 이 진행되고 있다.

PMV는 본래 실내 열적 쾌적성을 측정하는 지표이지만 외부공 간에 적용하는 초기 연구(Lee et al., 2010)가 이루어졌으며, 외부 공간에 적용하기엔 PMV의 분류척도에 대한 한계가 있으나 이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UTCI는 실내 조건에 주안점을 둔 PMV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1년도에 개발된 열쾌적성 평가 지표로서(Hoppe, 2002) 국내에서는 이를 활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온열환경의 개선을 위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대기환경 및 도시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마련해 주는 학교녹지공간에 대 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녹지공간은 여름철 열적스트레스 취 약한 학생들의 옥외활동 시 휴식 및 쾌적한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 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학교시설은 도심 내 존재하는 녹 지의 다양한 형태 중에서 녹지네트워크의 거점으로서 중요한 역할 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Kuk, 2009), 도시·군 계획 시설의 결정·구 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89조 학교의 결정기준에 따르면 학 교시설은 근린주거구역단위로 설치하되, 근린주거구역의 중심시 설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Yoon and Kim, 2004), 학교 옥외공간의 근린주거구역 내 중요한 녹지자원으로서의 충분 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Lee et al., 1997). 이러한 학교 숲 및 녹지공 간은 미기상 완화 및 학생들의 쾌적한 교육 공간, 주변 주민의 쾌적 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학교 녹지공간에 관한 국내 연구는 교내 녹지공간에 대한 교육 적 활용에 관한 연구(Kim, 2002; Jung, 2001; Song, 2004)와 학교 숲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심리에 관한 연구(Son and Ha, 2013; Kim and Lee, 2006; Kuk et al., 2008)등이 있었으나, 학교 녹지공 간에 관한 열쾌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학교 옥외 공간 중 학생들의 휴식 및 쾌적감을 줄 수 있는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 중 PMV와 UTCI, WBGT를 이용하여, 녹지특성에 따른 열적 쾌적성 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학교 숲 조성 시 열스트레스에 취 약한 학생들의 열적스트레스 저감 및 열적 쾌적성을 고려한 녹지조 성계획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연구대상지는 최근 전국 시·도 기준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고 도 시열섬 및 건조화가 극심하면서 도심 내 녹지가 부족한 인천광역시 일원 학교 내 녹지로 선정하였다. 학교는 학생들이 하루 중 가장 많 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로서 학교 녹지공간은 학생들의 환경교육 및 인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이며(Jo and Park, 2006), 학 교 녹지공간은 도심지 내의 녹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생물 서식 공간 역할을 하며, 지역공동체 문화교류의 장으로서 공동체 의식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학교 시설 중 녹지보전 및 녹화 추진사업(Incheon, 2004)에서 선정된 학교 중 총 6개 학교를 선정 하였다(Fig. 1). A학교는 건물사이에 띠형태의 녹지형태이며, B학 교는 운동장 주변이 소규모 녹지의 형태였으며, C학교는 소규목 녹 지가 밀집되어있었다. D학교는 단일녹지가 분산된 형태였으며, E, F학교는 학교주변의 띠형태의 녹지형태였다. 조사 시기는 열적 스 트레스가 가장 심한 여름철을 대상으로 2013년 7~8월까지 실시하 였으며, 이때 연구목적에 부합되지 않은 날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 에서 선정된 학교는 학교측의 요구로 인해 실제 학교명을 명시하지 않고 기호로 설정하였다.

Fig. 1.

The location map and measuring point of study.

2. 조사분석방법

본 연구는 학교의 옥외 공간 중 녹지를 대상으로 여름철 기간이 7~8월에 진행하였으며, 측정시간은 오전 9시부터 17시까지 측정 지점에서 1분 간격으로 10분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인간이 지 면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고려하여 1.5m에서 측정하였다(Kim, 2008).

학교의 식재구조는 교내 대표적인 녹지를 선정하여 10m × 10m 크기의 방형구 3개소를 설정하였으며, 교목·아교목층은 수종명,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수관폭을 조사하였으며 관목층은 수종명, 수고, 수관폭을 조사하였다. 식재구조 조사결과를 통하여 녹지의 수직적인 층위구조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녹피율과 녹지의 풍 부함을 정략적 자료로 산출하고자 녹지용적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산출식은 Table 1과 같다. 녹피율은 각 조사구의 층위별로 목본수 종의 수관투영면적을 환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층위가 또는 수종간 중복되는 수관투영면적과 잔디피복율은 고려하지 않 았다. 녹지용적계수(GVZ: Gruvolumenzahl)는 토양기능과 식생 을 고려한 지표를 이론화 한 것으로 1m 3당 수목이 잎을 달고 있는 양으로 수관용적의 합계로서 식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하였다 (K.I.C.T., 1996; Han, 2000). 또한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별 녹지용적계수는 3~5m 3 /m 2까지 분포하였으며, 이에 따라 Type 1 (녹지용적계수 3~4m 3 /m 2 ), Type 2(녹지용적계수 4~5m 3 /m 2 ), Type 3(녹지용적계수 5~6 m 3 /m 2 )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Equation of greenspace quantity.

측정항목 중 기상은 기온, 상대습도, 풍향, 풍속, 일사는 자동기 상관측기(Weather Stations 2000 Series, Spectrum Technologies Inc, USA), 기류는 열선 풍속계(Air Velocity Meter 9545, TSI, USA)를 이용하였으며, 흑구온도, 습구온도, 건구온도는 측정지점 에 흑구온도계와 건·습구온도계를 설치하여 기상요소와 동 시간에 측정이 이루어 졌다. 열쾌적성 항목 중 WBGT는 흑구온도, 습구온 도, 건구온도 등을 고려하여 산출하였으며, PMV, UTCI는 기온, 상대습도, 풍속, 평균복사온도, 착의량, 대사량 등을 고려하여 산출 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녹지특성 및 기상요소와 열쾌적지표의 학교 간 평균값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은 SPSS PASW Statistics 18을 활용하여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학교별 녹지현황 및 기상특성

1) 학교별 녹지현황

연구대상지의 학교별 녹지특성은 Table 2와 같으며, 녹지율의 경우 A학교는 15.1%, B학교 31.2%, C학교 45.6%, D학교 12.6%, E학교 12.5%, F학교 15.1%로 분석되었다. 학교녹지조성 관련법 에서 규정하고 있는 15% 이상의 녹지 확보 기준을 상회하는 학교 는 A, B, C, F 학교이었으며, D, E 학교는 녹지율 기준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녹지용적계수는 A학교 3.34m 3 /m 2 , B학교 3.40m 3 /m 2 , C학교 4.71m 3 /m 2 , D학교 4.72m 3 /m 2 , E학교 5.39m 3 /m 2 , F학교 5.97 m 3 /m 2로 분석되었다.

The results of the school's green status.

연구방법에서 제시한 녹지용적계수에 따른 유형구분 결과, A, B 학교는 Type 1, C, D학교는 Type 2, E, F학교는 Type 3에 속하였다.

연구대상지인 6개 학교 모두 인천광역시 녹지보전 및 녹화추진 사업에서 선정된 남동구 및 남구 학교 시설의 평균녹지용적계수인 1.59m 3 /m 2를 초과하는 수치였다(Incheon, 2004). 학교별로는 B 학교와 C학교는 F학교 보다 녹지율이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 나, 녹지용적계수는 F학교보다 낮게 나타났다.

녹지율이 높더라도 녹지용적계수가 낮은 결과를 보인 것은, 녹 지용적계수는 수목이 잎을 달고 있는 양을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이 므로, 녹지율이 낮더라도 녹지용적계수는 높은 수치를 보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2) 학교별 기상현황

학교별 기상특성은 Table 3과 같으며, 최고기온은 A학교(33.10 °C), B학교(32.67°C), C학교(33.10°C), D학교(32.17°C), E학교 (31.17°C), F학교(31.90°C)로 측정되었다. 유형별 최고기온평균 은 Type 1(32.88°C) > Type 2(32.63°C) > Type 3(31.53°C)로 나 타났다. 평균상대습도는 60~61%로 모두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유 형별 평균 일사는 Type 1(205.94wat/m 2 ) > Type 2(137.28wat/m 2 ) > Type 3(57.85wat/m 2 )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유형별 표면온도는 Type 1(30.72°C) > Type 2(29.00°C) > Type 3(28.45°C)이며, 유 형별 흑구온도는 Type 1(32.50°C) > Type 2(30.09°C) > Type 3(28.80°C)로 분석되었다. 녹지공간에서의 녹적량이 적을수록 고 온역이 형성되고 이와 반대로 녹적량이 많을수록 저온역이 형성된 다는 선행연구(Yoon et al., 2003)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The results of the weather characteristic of school.

이를 종합해보면 최고기온시 학교 내 녹지공간에서의 기상특성 중 기온, 일사, 표면온도, 흑구온도가 Type 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이는 녹지용적계수가 낮아 녹지공간으로 투과되는 일사량이 많아져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었다(Yoon et al., 2004).

2. 학교별 녹지공간 내 열적 쾌적성 특성

1) 일반적 온열기후지수(UTCI)

UTCI의 적용범위는 추위와 열을 고려하여 총 10개 등급으로 구 분되며, 9~26°C를 쾌적범위로 설정한 후 26~33°C는 일반적인 열 스트레스, 33~38°C는 강한 열 스트레스, 38~46°C는 매우 강한 열 스트레스, 46°C를 초과하는 경우 극심한 열 스트레스로 분류하고 있다(Hoppe, 2002). 추위에 대한 등급 사례는 본 연구목적과 부합 되지 않기 때문에 제시하지 않았다.

최고기온시 학교별 녹지공간 내에서 UTCI 분석결과(Fig. 2), A 학교(33.90°C), B학교(34.00°C), C학교(33.70°C), D학교(33.67 °C), E학교(32.67°C), F학교(32.80°C)로 분석되었다. E와 F학교 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에서는 33~38°C로 강한 열스트레스 범위에 속하였으며, E와 F학교는 26~33°C의 일반적인 열스트레스 범위 에 속하였다. 녹지특성에 따른 유형별 비교결과, Type 1(33.95°C) > Type 2(33.68°C) > Type 3(32.73°C)으로 분석되었다. 녹지용 적계수가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Type 3에서는 일반적인 열스트레 스를 받는 26~33°C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Type 1, 2는 강한 열스 트레스를 받는 33~38°C의 범위에 속하였다. Cheung and Hart (2014)는 여름철 열 스트레스가 가장 심할 때 녹지에서는 일반적인 열 스트레스 이하의 수치로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최고기온시 녹지공간 중 Type 3에서 일반적인 열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교 녹지 공간 조성 시 녹지용적계수가 5m 3 /m 2이상이 되어야 학생에게 미치는 열 스트레스 개선에 양호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Fig. 2.

The result of the school's UTCI.

2) 예상온열감(PMV)

예상온열감은 덴마크 공과대학의 P.O.Fanger 교수가 1967년 에 개발한 이론으로 ISO 7730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쓰 이고 있다. 인간의 온열감각에 대한 이론을 정량화시킨 것으로 인 체의 열평형을 기초로 한 쾌적 방정식에 대입하여 인체의 온열감을 이론적으로 예측한 것이다. 즉, PMV는 온열환경 요소들을 쾌적 방 정식에 대입시켰을 때 산열량과 방열량의 불평형분(인체 열부하) 과 사람의 온열 감각을 피험자 실험을 통해 나타낸 지표이다. 분류 척도는 -3~3까지 총 7개로 구분되며, 0일 때 불만족율 5%, -1 < PMV < 1 일 때 불만족율 25%, -2 < PMV < 2일 때 불만족율 75%, -3 < PMV < 3일 때 불만족율 100%에 해당한다.

최고기온시 녹지공간의 PMV는 A학교(2.40), B학교(2.30), D 학교(2.27), C학교(2.23), F학교(2.10), E학교(2.03) 순으로 나타 났다(Fig. 3). 모든 학교에서 PMV가 2.03~2.40으로 나타나 예상 불만족율 100%에 해당하였다. ISO 7730(1994)에서 권장하는 범 위인 -0.5 < PMV < 0.5일 때 예상불만족율 10%일 때를 최적 쾌적 조건으로 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할 때, 최고기온시 녹지공간 일지라도 ISO 7730의 기준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Fig. 3.

The result of the school's PMV.

학교운동장 및 녹지공간에서의 열쾌적지표 분석 연구에서 녹적 량이 적은 녹지공간에서 일평균 PMV가 2.66의 수치로 예상불만 족율 100%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온 및 일사가 가장 높은 13시와 14시에 불쾌적한 것으로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다(Yoon et al., 2014). 또한 동일한 녹지지역에서 기류 등의 요인 등이 유사할 경 우 녹지의 밀도, 녹지량에 따라 온열쾌적감이 달라진다는 결과 (Harazono et al., 1990)를 미루어 볼 때, 녹지조성 시 녹지의 질을 고려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지특성에 따른 유형간 비교에서는 Type 1 > Type 2 > Type 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6개 학교의 PMV는 2.03~2.40의 수치로 예상불만족율 100%로 나타나 학교 내 녹적량의 많고 적음에 상관 없이 불쾌적한 수준이므로, 학교시설의 경우 학생들의 건강적 측면 에서 여름철 최고기온시 폭염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 었다.

3) 습구건구온도(WBGT)

WBGT 지수는 흑구(복사열), 습구(습도와 바람), 건구(대기온 도) 온도계 값을 기준식에 대입하여 도출한 값으로 나타나며, 각 지 수값의 범위를 설정하여 인간의 열스트레스에 적합한 온열환경 활 동지침을 설정하고 있다. 이는 고온환경에서 작업자 또는 일상생활 에서 인간 활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활용되어, 열적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고려할 수 있는 지수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 한다(Ann et al., 2013). 또한 체육분야, 군사훈련분야, 노동분야 등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군사훈련시 많이 활용되고 있고, 31°C 이상이 되면 옥외훈련 및 활동이 제한되고 있다(Park et al., 2008).

학교별로는 A학교(31.29°C) > B학교(30.80°C) > D학교 (30.43°C) > C학교(30.20°C) > E학교(30.08°C) > F학교(29.94 °C) 순이었다. 최고기온시의 녹지공간에서 A학교만이 31°C를 초 과하여 옥외활동이 제한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학교에서 는 옥외활동이 제한되지 않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학교 간 차이 는 미미한 수준이었다(Fig. 4).

Fig. 4.

The result of the school's WBGT.

녹지특성에 따른 유형간 비교에서는 Type 1 > Type 2 > Type 3 순이었으며, 다른 유형에 비해 녹지용적계수가 낮은 Type 1에서 31.05°C로 분석되어 옥외활동이 제한되는 수치로 나타났으며, 나 머지 유형 Type 2, 3은 31°C이하로 분석되었다. 이는 열환경 조절 효과로 수목이 태양 일사를 차단하여 흑구온도를 낮추는데 기인하 는 것으로(Ju et al., 2004; Yamada et al., 2000) 판단되었다.

3. 통계 분석

1) 녹지특성에 따른 기상요소 상관분석

학교내의 녹지특성에 따른 기상요소의 상관성 분석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녹피율의 경우 일사와 -0.523, 외기온도와 -0.741의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녹피율이 높을수록 일사와 외기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 며, 녹지용적계수와는 0.896의 상관계수를 나타내 정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 녹지용적계수는 일사와 -0.490, 외기온도와 -0.694의 상관계수를 보여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녹지용적계수가 높아짐에 따라 일사와 외기온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results of the school type weather and green correlation analysis.

2) 녹지특성에 따른 열적 쾌적성 상관분석

녹지특성에 따른 열적 쾌적성 상관성 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 으며, 녹지특성인 녹피율은 UTCI와 -0.657의 상관계수를 보였으 며,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녹피율이 증가할수록 UTCI 는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녹지용적계수는 UTCI와 -0.489 의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녹피율과 는 0.896의 상관계수를 보여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이는 녹 피율과 녹지용적계수가 높을수록 UTCI는 낮아져 쾌적성이 높아 질 것으로 판단된다. PMV와 WBGT는 녹지특성에 따른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Yoon et al.(2014)에 의하면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가 높을수록 PMV와 WBGT의 수치가 낮아져 쾌적 할 것으로 보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여름철 최고기온시의 녹지 공간에서 측정된 결과로, 불쾌적감이 최고 시점일 때에 나타난 결 과로 사료된다.

The results of the school type thermal comfort and green correlation analysis.

IV. 적요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학교의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녹지용적계 수에 따른 열쾌적 지표비교를 통하여 학교의 녹지공간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열쾌적지표는 UTCI, PMV, WBGT를 측정하였으며, 녹지용적계수와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 였다.

학교별 녹지특성 중 녹지율은 A, B, C, F학교는 학교녹지조성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15% 이상의 녹지확보 기준 이상이었으 며, D와 E학교는 기준 이하였다. 녹지용적계수는 A학교 3.34 m 3 /m 2 , B학교 3.40m 3 /m 2 , C학교 4.71m 3 /m 2 , D학교 4.72m 3 /m 2 , E학교 5.39m 3 /m 2 , F학교 5.97m 3 /m 2이었으며, 모든 학교에서 인 천광역시 녹지보전 및 녹화추진 사업에서 선정된 남동구 및 남구 학교의 평균녹지용적계수인 1.59m 3 /m 2 이상을 보였다.

녹지공간내의 기상특성의 경우, 기온, 일사, 표면온도 흑구온도 는 녹지용적계수가 낮을수록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녹지로 투과 되는 일사의 양이 높아져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었다.

열적 쾌적성 특성 중 UTCI의 경우 Type 1(33.95°C) > Type 1(33.68°C) > Type 3(32.73°C) 순이었으며, 녹지용적계수가 다 른 유형에 비해 높은 Type 3에서는 일반적인 열스트레스 범위에 속 하였으며, 다른 유형은 강한 열스트레스를 받는 범위에 속하였다. PMV는 Type 1 > Type 2 > Type 3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유 형에서 -3 < PMV < 3 의 범위에 속해 예상불만족율 100%로 나타 났으며, 녹지용적계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학 교 내 녹지공간이어도 최고기온시에는 불쾌적하므로 학생들의 여 름철 폭염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WBGT는 Type 1 > Type 2 > Type 3 순이었으며, Type 1에서 옥외활동이 제한되는 수치가 나타났으며 다른 유형에서는 옥외활동이 제한되는 수준 이하였다.

녹지특성에 따른 열쾌적지표간의 상관분석 결과, UTCI는 WBGT, 녹피율, 녹지용적계수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가 높을수록 UTCI는 낮아져 쾌적성이 높아질 것으 로 판단된다. PMV와 WBGT는 녹지용적계수와 상관성이 없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녹지특성과 기상요소간의 상관분석결과, 녹지용 적계수와 일사, 기온이 부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어 녹지용적계수가 높아짐에 따라 일사와 기온이 저감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열쾌적지표 중 WBGT는 불 쾌적의 기준이 모호하고 착의량과 대사량이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PMV는 실내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된 온열쾌적감지표로 옥 외공간의 평가에 적용할 경우 열적인 불쾌적감에 대해 과대평가가 발생하므로, 외부공간의 열쾌적 평가 항목으로는 한계점으로 판단 되었다. 따라서 옥외공간에서의 온열쾌적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지 표의 개발이 요구되며, 온도의 범위가 넓고 열적으로 낮은 열을 가 지는 녹지공간 뿐만 아니라 외부공간에 적용가능한 UTCI의 외부 환경의 실증적인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학교의 공간구조간의 열쾌적지표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며, 기존 지표가 외부공간에 대한 열쾌적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외부열쾌적지표에 대한 추가적인 개 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Ann DM, Lee JW, Kim BR, Yoon HS, Son SW, Choi U, Lee NR, Lee JY, Kim HR. An Analysis of Thermal Comforts for Pedestrians by WBGT Measurement on the Urban Street Gre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 41(3)22–30.
ASHRAE. ASHRAE Handbook. Fundamental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 New York 1981.
Cheung CSC, Hart MA. Climate change and thermal comfort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2014. 58(2)137–148.
Han BH. Ecological Assessment and Planting Models of Green Linkage for Eco-city Realization. Ph. D. Dissertati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 of Seoul 2000.
Hoppe P. Different aspects of assessing indoor and outdoor thermal comfort. Energy Buildings 2002. 34(6)661–665.
Incheon. Basic plan of green conservation and greening promotion for Incheon. Incheon 2004.
ISO 7730. Moderate Thermal Environments. Determination of the PMV and PPD Indices and Specification of the Conditions for Thermal Comfor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1994.
Jo BH, Park BW. A Study on the School Forest Recognition of the School Community and a Desirable Process for Making the School Forest -Focused on the case schools of the “Forest for Life” in the Kangwon Youngseo reg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2006. 9(2)96–104.
Joo CH, Yoon YH, Park BJ, Kim WT. The Influence of Land Cover Types on Thermal Comfort in Urban Openspac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2008. 11(3)59–65.
Ju MJ, Lee CS, Ryu NH. The effect of urban shade trees on the WBGT(Wet Bulb Globe Thermometer Index).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4. 32(3)51–59.
Jung HM.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chool forest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01. 9(2)125–138.
Kim HJ, Yoon DY, Son JY. PMV-PP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trol in summer. Proceedings of Journal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1999. 139–40.
Kim JH, Lee HL. The Effects of Organized Camp Group Counseling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Forest Experience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6. 7(3)849–864.
Kim SY. A Study on the Status of School Forests and Its Utilization for Outdoor Education in Japa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02. 6(4)67–74.
Kim SC. Study for globe temperature characteristic and practical use way in downtown area on summer season.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Korea 2008.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reen Town Development Project i.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996. –297.
Kuk JH.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Members and Open Space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2009.
Kuk JH, Yoon YH, Park BJ, Kim WT. Effects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andscap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2008. 11(3)27–34.
Lee JA, Jeong DY, Jeon JH, Lee SM, Song YB.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0. 38(5)12–20.
Lee SH, Jeong JY, Lee YH, Cha SY. Green Space Expansion for Green Network in Seoul. Korea.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997.
Park JK, Jeong WS, Kim EB, Kim SC. Application of HI and WBGT for estimate of thermal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Korean Atmospheric Environment Conferences 2008. 586–587.
Ryu MK, Lim JH, Hwang HG, Song DS. Study on assessment of outdoor thermal environment with coupled simulation of convection and radiation.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s 2009. 565–572.
Son JW, Ha SY. Examining the Influence of School Forests on Attitudes Towards Forest and Agg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3. 17(4)49–57.
Song MY. Management of School Forest Decorati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2004. 8(1)45–71.
Thorsson S, Lindberg F, Eliasson I, Holmer B. Different methods for estimating the mean radiant temperature in an outdoor urban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007. 27(14)1983–1993.
Yamada H, Yabu S, Nakashima A, Nakao S. Estimation of the summer seasons heat stresses in several types of outdoor areas on the different ground surface structures. J. JIKA 2000. 63(5)534–546.
Yoon YH, Kim WT. A Study on the Field Survey of Plant Species of Elementary School -The Case Study on 10 Elementary Schools in Chungju C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04. 7(6)1–11.
Yoon YH, Cho GH, Beck SY, Kim ST, Kim WT. Study on How Different Types of Land Use Around Green Belts Influence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Decrease within Green Belts. Journal of turfgrass 2003. 17(1)45–51.
Yoon YH, Park SH, Kim WT, Kim JH. Analyses on Comparison of UTCI, PMV, WBGT between Playground and Green Space in School. Journal of Korea Environment Ecology 2014. 28(1)80–8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The location map and measuring point of study.

Table 1.

Equation of greenspace quantity.

Division Equation
Ratio of green coverage = π×radius of width of crown major axis (m) × radius of width of crown minor axis (m) × 100
plot area (m2)
GVZ = canopy layer GVZ (m3) + understory layer GVZ (m3) + shrub layer GVZ (m3)
Plot area (m2)

Table 2.

The results of the school's green status.

Division Site area (m2) Green area (m2) Green ratio (%) GVZ (m3/m2)

Type 1 A school 46,105 6,940 15.1 3.34
B school 20,403 6,360 31.2 3.40

Type 2 C school 20,220 9,216 45.6 4.71
D school 11,659 1,474 12.6 4.72

Type 3 E school 12,501 1,559 12.5 5.39
F school 11,883 1,797 15.1 5.97

Table 3.

The results of the weather characteristic of school.

Division Max air temperature (°C) Relative humidity (%) Wind velocity (m/s) Solar radiation (wat/m2) The surface temperature (°C) Globe temperature (°C)

Type 1 A school 33.10 61 0.69 200.55 31.00 32.00
B school 32.67 61 0.72 211.33 30.44 33.00

Type 2 C school 33.10 61 0.71 142.33 28.50 29.20
D school 32.17 60 0.76 132.22 29.50 30.97

Type 3 E school 31.17 63 0.78 65.70 28.70 29.10
F school 31.90 57 0.93 50.00 28.20 28.50

Fig. 2.

The result of the school's UTCI.

Fig. 3.

The result of the school's PMV.

Fig. 4.

The result of the school's WBGT.

Table 4.

The results of the school type weather and green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The surface temperature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ir temperature Ratio of green coverage

Solar radi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711**
Relative humid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088 .078
Air temperat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238 .608** .016
Ratio of green coverag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055 -.523* -.307 -.741**
GVZ The correlation coefficient -.213 -.490* -.335 -.694** .896**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Table 5.

The results of the school type thermal comfort and green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UTCI PMV WBGT Ratio of green coverage

PMV The correlation coefficient .455
WBG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787** .034
Ratio of green coverag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657** -.362 .292
GVZ The correlation coefficient -.489* -.114 .165 .896**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