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윤리를 적용한 대안학교 인성교육용 원예치료 프로그램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Personal Education on the Ground of Plant-ethic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4):299-303
1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 서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과
장 유진1,, 곽 혜란2, 박 천호1
1 Dept. of Horticultural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 Seoul 136-713, Korea
2 Dept.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for Lif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 flolin@hanmail.net
Received 2015 July 28; Revised 2015 August 5; Accepted 2015 August 11.

Abstract

In this study, 1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10 students of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nd surveyed in the alternative schoo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tudy period was 2013.9.2~2013.11.26 an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Wilcoxon singed rank test was utilized to compare their pre and post test collective averages.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easurement was done on self-esteem and self-concept scale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concluded that the two groups were in not much differences, feasible enough to proceed the therapy.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area of self-esteem, concluded in treatment group’s p=0.000 (<0.001) which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area of self-concept, concluded in treatment group’s p=0.000 (<0.001) which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or personal education on the ground of plant-ethics was evaluated and analyzed as being effective for juvenile positive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I. 서론

인성교육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사람이 마음을 어떻게 쓰 고 다스리는가를 교육하는 것이며(Kim, 2010), 일생을 걸친 가치 추구 실현으로 마음을 교육하고 인간이 되는 것을 교육하는 것을 의미한다(KMEST, 2010). 또한 자신의 내면적 요구와 사회 환경 적 필요를 지혜롭게 잘 조화시킴으로써 세상에 유익함을 미치는 인간의 특성(Cho, 2007)이며 교육이나 학습에 의해 습득하거나 변화가 가능한 인간의 성품을 지칭하는 것(Cho, 2004)이라 할 수 있다. 인성교육의 구성요소는 크게 개인적 차원과 타인 및 사회적 차원으로 분류하고 있는데(Cho, 1998) 인성교육은 자기 존중에 서 출발하여 타인을 존중하는 마음을 갖고 나아가 민주시민으로서 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Choi, 2015)고 한다. 인성교육의 덕목으 로는 기본생활습관 범주와 사회· 정서적 범주 그리고 윤리· 도덕 적 범주로 구분할 있으며(Kye and Kang, 2001) 인성교육에서 가 장 강조되어야 하는 덕목은 존중과 개인적 책임감을 들고 있다 (Lickona, 1998). 인성교육 덕목의 내용으로는 기본 생활 습관 범 주에 해당하는 청결, 정리정돈, 질서 등과 사회·정서적 범주에 해 당되는 자기조절, 감정이입, 대인문제해결 등과 윤리·도덕적 범 주에 해당하는 생명존중과 책임, 이타적 성향 등의 덕목이 있다 (Choi, 2015).

식물 윤리학은 일반 윤리학의 도덕 주체와 도덕 객체의 도덕적 교제 방식, 도덕 주체의 사람됨과 삶의 방식을 주체화함에 근거하 여 인간과 자연 사이의 도덕적 교제 방식을 주제로 삼는다(Kim, 2011; Kwack and Jang, 2011). 식물 윤리학은 식물을 왜 도덕적 으로 대우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출발점으로 인간과 식물 간의 도덕적 교제 방식을 탐구하는 것이다(Kim, 2011). 식물 윤리학에 서 인간은 다른 자연 존재들과 도덕적 관계를 맺음으로서 좋은 삶 과 가치 있는 삶을 지향할 수 있음을 언급하며 인간은 식물을 기르 고 성장과정을 관찰함으로서 삶을 가치 있고 풍요롭게 만들 수 있 고 생태학적 감수성과 도덕적 공감능력을 갖춘 생태계의 일원으로 서 다른 자연 존재들에 대한 책임과 배려를 통해 자신의 삶에 의미 를 부여할 수 있다(Kim, 2011; Kwack and Jang, 2011)고 한다. 원 예활동은 자연을 경험하는 가장 쉽고 가까운 방법이며 알게 하기보 다 느끼게 하고 생각하게 하는 교육의 장이 되기도 한다(Kwack and Kwack, 2000). 식물을 접하고 기르는 것을 통하여 나와 다른 존재에 대한 인정과 생명을 소중히 여겨 배려하는 마음 그리고 인 내심,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 수 있는 마음을 기를 수 있다(Relf, 1992).

이러한 식물 윤리를 적용하여 인성교육의 윤리·도덕적 범주에 해당하는 생명존중과 관련된 덕목으로(Kim, 2013) 식물의 관찰과 돌봄, 양육을 통한 식물의 생명으로의 인식과 존중을 통하여 자신 의 생명에 대한 인식과 존중으로 확장되어 가는 인성교육용 원예치 료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일반 학교 청소년에 비하여 자아존 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이 낮다고 보고(Jeong, 2005)되고 있는 대안 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 부 적응 및 중학교 의무교육에 의한 정학 등의 징계조치로 다니게 된 위탁교육형 대안학교 청소년들에게 낮은 자아존중감과 자신감의 회복은 학습 동기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학교 적응에 도움이 된다 (Hwang, 2008)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윤리를 적용한 인성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으로 대안학교 학생들을 위한 생명존중이라는 인성교육 용 덕목을 기본 바탕으로 하여 원예활동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대 안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의 대상은 대안교육 위탁교육 운영지침의 인성교육 내실화 방안에 따라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있는(Hwang, 2008) 서울시 성 북구에 위치한 A 대안학교 14~16세에 해당하는 청소년 20명 이었 으며 이들은 학교 적응상의 문제로 대안학교에 한시적으로 머물러 있는 학생들로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이 낮다고 판단된 학생들이 었다.

이들 중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10명의 실험군과 참가 하 지 않은 대조군 10명을 선정하여 식물윤리를 적용한 인성교육용 원 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 개인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개념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1) 프로그램 설계

연구 기간은 2013년 9월 2일부터 2013년 11월 26일까지 3개월 간 매주 화요일 10시~12시까지 주 1회 총 10회의 원예활동 프로그 램을 실시하였으며 원예치료사인 주진행자 1명과 보조진행자 2명, 대안학교 담당 교사 1명이 참여하였다.

식물윤리를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원예과 교수 1인, 박사 1인, 윤리과 교수 2인의 참여로 식물 기르기를 통하여 생명에 대한 존중감과 경외감, 생명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고, 나의 생명에 대한 존중감으로 확장되는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학적 요인의 통합을 통 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인성교육 덕목 중 윤리·도덕적 범주에 해당하는 생명존중 (Choi, 2015) 덕목을 원예활동과 결부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Table 1).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personal education on the ground of plant-ethics.

2) 연구 도구

(1) 자아존중감 척도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Hwang(1988)이 우 리나라의 문화권과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 다. 이 도구는 총 24문항으로 사회적, 학문적, 가정적 자아존중감 3 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며 5점 척도로 이루어졌다. 점수범위는 24점에서 12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으로 0.83이 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0.91로 나타났다.

(2) 자아개념 척도

Shavelson 등(1976)이 분류한 자아개념 측정변인을 Yoon(1984) 이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자아개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 다. 자아개념의 기술적, 평가적 차원을 8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하 여 총 72개의 문항 중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아개념과 인성적 자 아개념에 해당하는 4개 하위요소, 총 45문항으로 척도를 재구성하 였다. 본 척도는 긍정적 반응은 1점, 부정적 반응은 0점으로 점수화 하여 총점 45점으로 총점이 높을수록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으로 0.81이었 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값 0.90 이었다.

3) 자료 분석 방법

대안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물윤리를 적용한 인성교육용 원예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self-esteem), 자아개념(self-concept)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각각 1회 측정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실험 전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는 집단의 적은 인원수로 인하 여 비모수 검정의 방법인 Mann 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평균차이 및 사전, 사 후의 평균차이를 대응표본 t검정의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ng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본 연구는 식물윤리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용 원예치료 프로그 램을 대안학교 청소년들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프로그램 전 측정값에 대한 평균 차이 를 검증하여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원예치료 프로 그램 실시 후 측정한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의 점수를 사전· 사후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1) 자아존중감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측정 값에 대한 평균 차이를 검증하여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대조군 81.21±1.40, 실험군 82.42± 3.13으로 평균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원예치료 프로그램 을 실시하기 전 두 집단이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2).

Homogeneity test on the self-esteem Pre-HTPz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

식물윤리를 적용한 인성교육용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측정한 자아존중감의 결과(Table 3)는 실험군에 있어서 82.42± 3.13에서 93.16± 2.12로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었으나(p=.000), 대조군은 81.21±1.40에서 82.64± 2.03으로 평균점수는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내지 않았다(p=.160).

Pre-HTPz/post-HTP comparison of self-esteem in control and treatment group.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3개 영역에서 사전·사후 측정 결과 실험 군은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문적 자아존중감 모두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은 하위변인 3개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Table 3).

이는 Choi(2015)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체 자아존중감 및 하위요인별 가 정적 자아, 성격적 자아, 친구 관련 자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향상이 있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식물윤리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용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대안학 교 청소년들에게 자아존중감 영역의 긍정적인 인성교육 효과를 나 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자아개념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자아 개념에 대한 측정값의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아개념 영역에서 평균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집단이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4).

Homogeneity test on the self-concept in pre-HTPz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

식물윤리를 적용한 인성교육용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측정한 자아개념의 결과(Table 5)에 있어 실험군은 36.04±3.5에 서 42.13±2.2로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내었으나(p=.000), 대조군은 36.68±4.2에서 37.12±0.13으로 평 균점수는 향상되었지만,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다(p=1.021).

Difference in evaluation of self-concept treatment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HTP.

자아개념의 하위변인 2개 영역에서 실험군은 사전·사후 측정 결 과 사회적 자아개념과 정서적 자아개념에서 모두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은 하위변인 2개 영역 모두 평균이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Table 5).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대안학교 청소년들에게 있어 자아개념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Yoon(2001)의 연구에서도 재배활동을 통하여 바른 인성 및 긍 정적 자아 개념 형성에 좋은 변화를 나타내어 재배활동이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를 통해 인성교육용 원 예치료 프로그램이 대안학교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심성계발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개념 및 인성특성 변화에 미치 는 효과(Shin, 1995)에서도 아동이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의 자아개념은 학습과 훈련을 통해 개선, 발달될 수 있음을 나타 내었다.

이를 통하여 식물을 양육하고 돌보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자연 존재들과 도덕적 관계를 맺음으로서 좋은 삶과 가치 있는 삶을 지 향할 수 있는 활동이며(Kim, 2011) 인간이 식물을 기르고 성장과 정을 관찰함으로서 삶을 가치 있고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인성교 육 프로그램으로 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V. 적요

본 연구는 대안학교 청소년들을 위한 식물 윤리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것으로 인성교육의 윤리· 도덕적 범주에 해당하는 생명존중에 대한 덕목 을 중심으로 식물윤리에 대한 이론적 적용과 원예치료의 양육과 돌 봄을 통한 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통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 다. 대안학교 청소년들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하여 자아존중 감과 그 기반을 이루고 있는 자아 개념에 대한 인성교육 향상을 목 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대안학교 14세~16세에 해당하는 청소년 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10명과 참가 하지 않은 대조군 10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전·후에 설문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13년 9월 2일에서 2013년 11월 26일까지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매주 1회씩 총 10회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 자 아개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물윤리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결 과,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 모두 실험군의 경우 사전에 비하여 사 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 있어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식물 윤리를 적용한 인성교육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물의 양육 과 돌봄을 통한 생명에 대한 존중감과 가치 인식이 자신의 생명에 대한 가치 인식과 존중으로 확장되어 대안학교 청소년의 자아존중 감과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References

Choi JY.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MS Thesis. Catholic Univ. Seoul 2015.
Cho NS. Characteristics of the 7th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04. 221–18.
Cho YS. Component factors of desirable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1998. 28131–252.
Cho YS. Phenomenon and assignment of character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2007. 513–38.
Hwang IG. Understanding the learning process that students go through in an alternative “small-scaled school in town"”. MS Thesis. Yonsei Univ. Seoul 2008.
Jeong HJ.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regu1ar and altemative school student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2005. 235–34.
Kim SH. Effect of discussion activities with the use of picture book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 MS Thesis. Jeonam Univ. Kwangju 2013.
Kim YO. Meaning an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sensibility education.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0. 9187–212.
Kim NJ. Principles of ethics of pla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2011. 121–34.
KMEST. The influence of media program on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2010.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wack HR, Jang EJ. Study on the paradigm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in Aspects of plants ethic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2011. 1265–90.
Kwack HR, Kwack BH.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in horticulture and for children. J. Kor. Soc.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2000. 31–7.
Kye YA, Kang JW. The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characteristic virtue and teaching strategy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NewsLetter Chung Ang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1. 5(1)55–75.
Lickona T. Character matters. 2006. Yangseowon; Paju:
Relf D.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A national symposium. 1992. Timber Press; Portland, California: 1–45.
Shin Seung.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rogram of human nature training on the change of self-concept and personality of children. MS Thesis. Mokpo Nat'l Univ. Mokpo
Shavelson RJ, Habner JJ, Stanton GC. Self-concept: Validation of constructio interpret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1976. 46407–441.
Yoon SG. The effect of the plant-culture working on changesin children's personality. MS Thesis. Seoul Education Univ. Seoul 2001.
Yoon HJ. Personality psychology. 1984. Education Press; Seoul: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unding : 이 논문은 2012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2S1A5B5A07038078)

Table 1.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personal education on the ground of plant-ethics.

Step Session Program (activity) Developing goal
Life recognition on the plants 1 Introducing myself with a pressed flower Know my worthiness through the advantages of self introduction
2 Make our garden planning Create bonds with friends as the first step to get what you want through effort
3 Walk and collecting wild flowers Observe various plants and have interests and expectations about horticulture
4 Making garden Learn horticulture techniques and have expectations on teammates
Worth recognition and availability on the plants 5 Cultivate garden and charcoal and planting Increase self-expression and self-control through strong adaption to the new environment
6 Cultivate garden and succulent Understand growth condition and have a chance to discover oneself
7 Cultivate garden and hydroponic plants Improve positive mind and adaption through environmental changes
Life respect on my life 8 Cultivate garden and create masks with dry flower Know my worthiness on the life through growing
9 Cultivate garden and Make heart shaped flower decoration for myself Know my worthiness on the life through making art and craft
10 Cultivate garden and make sandwiches with cultivated products Know my worthiness on the life through cooking

Table 2.

Homogeneity test on the self-esteem Pre-HTPz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

Division Control Treatment t Probability
self-esteem 81.21±1.40y 82.42±3.13 -0.677 0.500NS
z

HT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y

Mean±SD

NS

Nonsignificant at p<0.05 respectively, by Mann Whitney U test.

Table 3.

Pre-HTPz/post-HTP comparison of self-esteem in control and treatment group.

Group Items Pre-HAP Post-HAP t Probability

Control
Home self-esteem 28.55±2.12y 28.67±2.62 -0.790 0.432NS
Social self-esteem 25.38±2.12 25.56±2.38 -0.916 0.363NS
Scholastic self-esteem 27.51±1.34 27.81±2.05 -1.547 0.126NS

Total 81.21±1.40y 82.64±2.03 -1.421 .160NS

Treatment
Home self-esteem 28.81±2.34 31.97±2.19 -7.467 0.000***
Social self-esteem 26.00±3.01 30.04±1.14 -9.207 0.000***
Scholastic self-esteem 28.11±2.11 31.74±1.45 -7.257 0.000***

Total 82.42±3.13 93.16±2.12 -12.020 0.000***
z

HT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y

Mean SD

NS, *,**,***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Wilcoxon singed rank test

Table 4.

Homogeneity test on the self-concept in pre-HTPz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

Division Control Treatment t p
Self-concept 36.68±4.2y 36.04±3.5 0.820 0.098NS
z

HT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y

Mean±SD

NS

Non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Mann Whitney U test.

Table 5.

Difference in evaluation of self-concept treatment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HTP.

Group Before HTP After HTP t p


M±SD M±SD

Treatment
Social self-concept 20.32±1.12y 24.67±0.56 4.032 0.000***
Personal self-concept 16.24±1.20 19.81±0.63 4.726 0.000***
Total self-concept 36.04±3.5 42.13±2.20 4.842 0.000***

Control
Social self-concept 19.58±1.32 20.49±0.80 0.353 0.051NS
Personal self-concept 15.61±1.81 15.89±0.27 1.053 0.093NS
Total self-concept 36.68±4.2 37.12±0.13 0.854 1.021NS
z

HAP: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y

Mean±SD

NS

Non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Wilcoxon singed rank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