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8(4); 2015 > Article
그린인테리어 주거공간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효과 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effect of place of green-healing using by green interior plant surveyed with 112 subjects. The measurement of psychology has been investigated with the method of Attention restoration,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ata has been processed with one-way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on general understanding of green interior, the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and type of plants wer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80.93 percent of participants expected the cost of installation under 2,000,000 Won and 81 percent chose the range of maintenance fee of 100,000~500,000 Won.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ree types of psychological index, high proportion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Strongly Agree’ for the measurement of attention restoration. As the result sorting by the occupation, house wives had higher rate of attention restoration than office worker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jobs. In the examination of feeling condition, tension- anxiety, depression, anger-hostility, fatigue and confusion were low whereas vigor was high as a trend. Furthermore, from the investigation for the emotion in regards to the space of green-healing by green interior plant with the method of Standard Deviation, ‘Pleasant’, ‘Natural’ and ‘Calm’ has range of high score significantly.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 for three types of emotional words, it was significantly high for all of emotions in the place of green inter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effect from green interior, more than 94% of respondents showed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air cleaning,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pontaneous cure. The result that was showed from a correlation analysis within the questionnaires of effect of green interior, “Green interior improve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Green interior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showed the highest defined correlation with 0.818. As the result of this study, green interior is expected to provide the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ase negative emotion.

서론

주거공간은 건물 자체의 물리적 공간을 의미하지만 가족구성원 이 살아가는 사회적 · 정서적 공간으로, 심리적 · 문화적 의미를 함께 갖고 있다(Lee, 1994). 현대의 주거공간은 어느 공간보다도 기본 적인 기능인 식사, 수면, 휴식 외에 안락함과 쾌적함 등 2차적 기능 이 충족되어야 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다(Park, 2004). 우리나 라 1인당 녹지면적은 6m2이하로 세계식량농업기구 권고 최저기준 인 9m2에 못 미치고 있으며(Yonhap news, 2005; The Construction Economic Daily, 2013), 국민들은 도시화와 함께 녹지공간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실내공간도 새집증후군 등 건강 이 직접적으로 위협받고 있으며 상실감, 소외감 등의 사회적 문제 도 심각한 수준이다(OECD, 2011). 사람들은 자연속에서 주로 녹 색식물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가운데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는다 (Kim, 1998; Oishi et al., 1996). 이와 관련하여 2001년 미국의 월 드트레이드센터가 공격당한 바로 그 다음날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 들의 숫자가 현저하게 증가했다(Lazaroff, 2002). 이처럼 식물은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어 주고, 거주자로 하여금 정서적으로 안정감 및 평온감을 주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효과를 준다(Shibata and Suzuki, 2002). 즉, 녹색공간의 양과 주거공간과의 거리는 사람이 받는 스트레스의 수준에 영향을 준다(Van den Berg et al., 2010). 이러한 식물의 기능성을 활용, 실내공간 인테리어의 주된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공간의 공기정화뿐만 아니라 미적 가치를 증진시키 려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의 기능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그린 인테리어1)’, ‘그린힐링2)오피스’등의 용어가 등장하고 통용되고 있 다.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질과 미적환경 개선 효과를 위해 일정량 의 식물을 사용하여 장식요소에 의해 배치하여 꾸미는 행위 및 산 물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식재 도입뿐만 아니라 식물을 재료로 디자인을 겸한 자연친화적 웰빙인테리어를 그린인테리어라고 정 의하기도 한다(Kim and Han, 2007). 일반적으로 투입되는 식물 의 양은 부피대비 2%, 면적대비 5%가 가정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 다(Hwankyungilbo, 2014). 이러한 그린인테리어를 활용하여 꾸 며진 사무실을 일컬어 ‘그린힐링오피스’라고 한다(Jang et al., 2014).
본 연구는 실내식물을 이용하여 건강한 주거 환경조성 및 이와 관련된 산업을 증대시키고자 수행하였다. 식물로 꾸며진 실내주거 공간에서 사람이 느끼는 심리적 상태를 주의회복척도, 기분상태 및 어의구별척도로 파악하여, 식물의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와 식물관 련 산업 종사자의 인식을 명확히 하고 소비자 요구에 맞는 디자인 활용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직업군에 따른 심리적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여 주거공간에서의 식물의 역할에 대한 정보가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3).

연구방법

1. 설문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인식과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4년 5월부터 11월까지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에 대한 기본 적인 지식과 접근 경험을 가지고 있는(10년 이상 화훼장식 활동가, 원예 전공자, 화훼장식 입문자 등) 관련자와 일반인 총 115명을 대 상으로 49.6m2규모의 모형주택내 설치한 그린인테리어 주거공간 을 보면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Fig. 1) 설문 응답자 115명 중 부적절한 답변을 한 3건을 제외한 11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살펴보면 전문가 54.1%, 비전 문가 45.9%, 연령층은 50대 33.3%, 40대 22.6%, 30대 18.0%, 20 대 15.3%, 60대 이상 10.8% 순이었고, 직업은 전문직 30.9%, 주 부 18.2%, 기타 17.3%, 회사원 14.5%, 자영업 10.0%, 학생 9.1% 순이었다. 또한 소득 정도는 500만원 이상 25.5%, 200-299만 19.1%, 100만원 미만 17.3%, 300-399만 14.5%, 100-199만원 12.7%, 400만원-499만 10.9%순으로 나타났다.
Fig. 1.
The green interior home used in the experiment. A, B, C: Living room; D: Kitchen room; E, F: Studying room; G: Bed room; H: Veranda.
KSPPE-18-249_F1.gif

2. 조사항목의 구성

설문조사 항목은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인식, 심리적 효과, 그리 고 일반사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린인테리어 치유효과에 대해서는 Kim(2012)이 사용한 산림치유의효과 척도를 그린인테리어의 상 황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4점 척도(1=전혀 그렇 지 않다; 4=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하였고 Cronbach’s α= 0.893로 나타났다.

3. 평가도구

심리실험의 평가도구로서 주의회복척도, 기분상태검사(profile of mood states: POMS)와 어의구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법)을 이용하였다

1) 주의회복척도(attention restoration)

주의회복이 잘 될 수 있는 대표적인 환경은 자연환경이며(Kaplan and Kaplan, 1989), 이러한 자연환경은 정신적 회복경험의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ichardson et al., 2013). 또한 주의회 복이론에서 도시환경보다 자연적 요소가 우세한 자연환경에서 회 복환경적 특성이 더 나타났다(Herzog et al., 2003).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의회복척도 문항은 Staats et al.(2003)의 문항을 번안한 Lee(2011)의 주의회복척도 7문항을 7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 다; 7=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하였다(Table 1). 본 연구의 Cronbach’s α= 0.950로 나타났다.
Table 1.
Attention recovery scale for the study.
No. Item

1 It seems to be clam down in here.
2 It seems to recover the energy in here.
3 It seems to re-discover myself in here.
4 It seems to be relax in here.
5 It seems to be re-organizing the thoughts in here.
6 It seems to disremember everything in here.
7 It seems to recover the concentration in here.

z zAttention recovery scale: 7=extremely so ~ 1=extremely not.

2) 기분상태검사(profile of mood states: POMS)

기분상태검사(이하POMS)는 인간의 기분 또는 주관적 감정 상 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환경에 의한 영향, 인간관계의 영향에 의 한 정신건강상태의 전반적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에 널리 사용 되어 왔다(Kim, 2012; Kim and Yun, 1998; Park, 2010). POMS 는 질문을 통하여 응답자의 기분을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혼란, 활력으로 구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며, 종합감정장해(TMD: total meed disturbance)점수는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혼 란 값을 합한 후 활력요인 점수를 뺀 종합의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 가 높을수록 기분이 좋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McNair and Lorr, 1964). 본 연구에서는 30항목의 단축판 POMS을 이용하여 5점 척 도로 피험자의 기분상태를 검사하였다(Kim, 2012; Park, 2010). 본 연구의 Cronbach’s α= 0.885로 나타났다.

3)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D)

어의구별척도법(이하 SD법)은 감성형용사 언어나 요인분석에 의해 나타난 대표 감성 요인과의 관계를 개인의 주관적인 기호와 취향에 따라서 정량화하기 힘든 요소인 경관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 용되고 있다(Jo, 2008; Kim, 2012; Park, 2010). 본 연구에서는 경 관평가용 이미지형용사(Im, 2009)와 식물에 관계될 수 있는 3쌍의 감성어휘 ‘쾌적–불쾌,’ ‘자연–인공,’ ‘진정–불안’을 이용하여 7점 척도(매우 부정 -3; 매우 긍정 3)로 나누고, 미국의 심리학자 Osgood(1969)Osgood et al.(1957)에 의해 제안된 감정평가나 경관평가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SD(semantic differential) 스케 일법을 제시하여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Kim, 2012; Park, 2010).

4) 통계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sion 12.0)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α를 산출하 였다. 주의회복척도, 기분상태검사, 어의구별척도는 일원배치분 산분석, 그린인테리어 심리적 효과간의 상관관계, 그린인테리어의 심리적 효과와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분석, 그 리고 일반사항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일반적 인식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그린인 테리어 조성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경관디자인 41.41%, 식물의 종류 31.31%로 높게 나타났고(Fig. 2), 설치 투자비용은 200만원 미만이 80.93%로 나타났으며(Fig. 3), 건강증진을 위하 여 그린인테리어를 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경험이 있다 54%, 없다 46%로 경험 유무에 대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Fig. 4). 또한 전문가에게 의뢰할 경우 유지관리비는 10만원 미만이 52%, 10~49만원 29%, 50~99만원 14%, 100~199만원 5%로 순으로 나타났다(Fig. 4).
Fig. 2.
Importance factor when construct green interior.
KSPPE-18-249_F2.gif
Fig. 3.
Possible investment to the cost when construct green interior. A: Under 1 million won, B: Under 2 million won, C: Under 3 million won, D: Under 4 million won, E: Under 5 million won, F: Over 5 million won.
KSPPE-18-249_F3.gif
Fig. 4.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for an investment on green interior for the promotion of health(A) and possible amount of investment on maintenance(B). B: WA: Under 100,000 won; WB: 100,000-490,000 won; WC: 500,000-990,000; WD: 1 million-under 2 million won.
KSPPE-18-249_F4.gif

2. 그린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심리적 변화

1) 주의회복척도(attention restoration)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한 주거 공간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주의회복척도를 알아본 결과, 일곱 문항 전체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 분포를 나타냈으며, 특히 ‘이곳에 있으면 에너지를 회복할 수 있을 것 같다(47.3%)’와 ‘이곳 에 있으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을 것 같다(44.6%)’는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고 답변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배치함으로써 휴식 및 재충전과 관련이 있는 주의회복력 효과가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주의회복척도를 도 시, 옥상정원, 숲의 경관을 대상으로 비교했을 때, 도시보다는 숲과 옥상정원에서 주의회복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Lee(2011)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치유의 숲’의 회복환경지각을 통한 주의회복력은 치유프로그램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는 Kim(2015)의 연구는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주의회복력에 대한 직업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Table 2), 그린 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주거공간의 경우 사무공간에서 일하는 회사 원보다 가정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주부들의 주의회복력이 더 높 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사무실 주변의 도시림이 있는 곳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이 그렇지 않은 환경에서 일 하는 직장인보다 직무만족도는 더 높았고, 직무스트레스는 덜 느끼 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Shin(2007)의 연구와 같이 회사원들의 주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서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의 이용은 유용한 것 으로 판단된다.
Table 2.
Difference in attention restoration affected by the occupation in green interior home.
Itemz Occupation F p

House wife Own business Special business Student Salary man Others

a 6.30±0.97by 6.18±1.32b 6.26±9.31b 5.60±1.17ab 4.75±1.29a 6.31±0.94b 5.825 .000
b 6.10±1.25a 5.81±1.25a 6.11±1.00a 5.80±1.36a 5.06±1.34a 6.15±1.06a 2.206 .059
C 5.70±1.34a 5.45±1.36a 5.76±1.43a 4.80±1.61a 4.12±1.78a 5.52±1.61a 3.315 .011
D 6.15±1.13a 6.00±1.18a 6.00±1.07a 5.50±1.58a 4.75±1.57a 5.84±1.16a 2.946 .016
E 6.15±1.08b 5.36±1.62ab 5.76±1.28ab 5.40±1.42ab 4.31±1.49a 5.78±1.27ab 3.948 .003
F 5.80±1.36b 5.00±1.34ab 5.41±1.59ab 4.50±1.77ab 3.75±1.34a 5.21±1.65ab 3.967 .002
G 6.25±1.06b 5.45±1.21ab 5.67±1.31ab 5.00±1.69ab 4.62±1.45a 5.73±1.28ab 3.191 .010

z Attention recovery scale : 7=extremely so ~ 1= extremely not. A: It seems to be clam down in here ; B: It seems to recover the energy in here ; C: It seems to re-discover myself in here ; D: It seems to be relax in here ; E: It seems to be re-organizing the thoughts in here ; F: It seems to disremember everything in here ; G: It seems to recover the concentration in here .

y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Tukey’s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P≤0.05).

Significant at P<0.05 by repeated-measures ANOVA. Mean ± standard deviation(n = 112).

주의회복척도의 각 문항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Table 3), 대부분 각 문항간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 특히‘이곳에 있으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을 것 같다’와 ‘이곳에 있으면 에너지를 회복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문항간 0.832 의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이곳에 있으면 마음 이 차분히 가라앉을 것 같다’고 응답한 사람들이‘이곳에 있으면 에 너지를 회복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able 3.
Correlation between the questions about the scale of attention restoration for green interior home.
Itemz A B C D E F G

A 1
B .832** 1
C .773** .779** 1
D .722** .760** .811** 1
E .654** .658** .774** .799** 1
F .578** .669** .776** .729** .782** 1
G .697** .651** .759** .783** .751** .776** 1

z Attention recovery scale : 7=extremely so ~ 1= extremely not. A: ‘It seems to be clam down in here’; B: ‘It seems to recover the energy in here’; C: ‘It seems to re-discover myself in here’; D: ‘It seems to be relax in here’; E: ‘It seems to be re-organizing the thoughts in here’; F: ‘It seems to disremember everything in here ; G: It seems to recover the concentration in here’.

* significant at P= 0.05 or 0.001, respectively(n = 112).

** significant at P= 0.05 or 0.001, respectively(n = 112).

2) 기분상태검사(profile of mood states: POMS)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장식한 주거공간에서의 심리 변화를 POMS에 의한 심리적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혼란, 그리고 활력의 값을 5점 척도(느끼지 않는다 0점, 매우 그렇게 느낀다 4점) 로 알아본 결과(Fig. 5), 긴장–불안(0.229), 우울(0.184), 분노 (0.171), 피로(0.268), 혼란(0.714)의 감정은 0.2~0.7점 정도로 낮 게, 활력은 2.2점 이상의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녹색계의 관 엽식물이나, 분화식물을 보는 것만으로도 기분상태에서 피곤, 분 노, 불안 등을 사람에 따라서는 낮출 수 있었다는 Kim(2012)의 연 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 도시보다 숲을 산책할 때 우울, 분노, 피로 그리고 혼란과 같은 감정이 유의하게 더 낮아졌다는 Park(2010)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라고 볼 수 있었다. 특히 기분상태검사를 직업별로 분석한 결과(Table 4), 그린인테리어 식 물을 배치한 주거공간을 보고 느낀 응답자 중 ‘피로’에서 주부, 학 생과 회사원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주의회복력 효과에서와 유사한 경향으로 주부나 학생보다 회사원이 피로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OMS에 의한 종합감정장해의 결과, 학생과 주부보다 회사원이 가장 종합감정장해 점수가 유의하 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직업군보다 회사원의 기분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Fig. 5.
The difference of change on profile of mood states (POMS).
KSPPE-18-249_F5.gif
Table 4.
Difference of psychological tension, depression, anger, tiredness, confusion and vitality depending on occupation using profile of mood states (POMS) of green interior home.
Itemz Occupation F p

House wife Own business Special business Student Salary man Others

Tension-anxiety 0.05±0.11az 0.13±0.26a 0.31±0.48a 0.00±0.00a 0.43±0.65a 0.32±0.49a 2.566 0.031
Depression 0.50±0.20a 0.24±0.33a 0.23±0.46a 0.04±0.13a 0.45±0.77a 0.07±0.19a 2.220 0.058
Anger-hostility 0.05±0.16a 0.25±0.46a 0.18±0.45a 0.06±0.19a 0.40±0.64a 0.12±0.32a 1.648 0.154
Fatigue 0.09±0.23a 0.13±0.18a 0.24±0.47a 0.12±0.27a 0.81±0.99b 0.23±0.31a 4.741 0.001
Confusion 0.63±0.37a 0.80±0.32a 0.72±0.42a 0.54±0.33a 0.95±0.67a 0.65±0.30a 1.641 0.156
Vigor 2.19±1.27a 2.15±1.04a 2.25±1.00a 2.44±0.89a 1.73±0.90a 2.12±1.10a 0.744 0.592
Total moos disturbanc -1.31±1.05a -0.60±1.81ab -0.58±2.40ab -1.68±0.96a 1.31±3.39b -0.72±1.81ab 3.455 0.006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Tukey’s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P≤0.05).

Significant at P<0.05 by repeated-measures ANOVA. Mean standard deviation(n = 112).

4=extremely so, 3=fairly so 2=so, 1= not so, 0=extremely not.

3)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SD법)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배치한 주거공간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 는 영향을 어의구별척도(간이 semantic differential scale: SD법) 로 알아본 결과,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 전체에서 긍정적으로 유 의하게 높은 점수 분포를 나타냈으며, 특히 ‘꽤 쾌적한’, ‘꽤 진정되 는’이 42.3%의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쾌적감(불쾌한–쾌적 한), 자연감(인공적인–자연적인), 진정감(흥분되는–진정되는) 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Table 5), ‘쾌적감, 자연감, 진정 감’ 모든 감정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중‘진정 감’과 ‘자연감’과는 응답간 0.7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러한 결과는 그린인테리어 환경이 주의회복력이나 기분상태검사 결과와 같이 쾌적감과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숲과 도심을 산책한 후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을 측정한 결과 도시 보다 숲길을 산책한 후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얻었다는 Park(2010) 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수목원의 소나무 숲과 연못이 있는 공간 을 산책하면서 도시보다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편안함, 그리고 친 근감 등 순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지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Lee et al.(2011)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Table 5.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words for green interior home.
Variance Pleasant Natural Calm

Pleasant 1
Natural .616** 1
Calm .640** .738** 1

*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n = 112).

**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n = 112).

3. 그린인테리어 치유 효과의 문항간 상관관계

그린인테리어 치유효과의 문항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Table 6),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고 응답 한 사람들은‘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는 문항과 0.81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그린인테리어는 거주자 들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는 문항과도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 계를 나타냈다(0.69). 이러한 결과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실 내 주거공간의 경우 공기정화 기능과 같은 환경개선 기능뿐만 아니 라 심리적 안정 및 생리적 회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 한 주거공간을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하여 조성함으로써 주 부들의 가사노동능률과 만족도도 높아진다고 판단한다. 이는 Kim(2012)의 연구결과와 같이 산림치유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 에서 산림치유 효과에 대해 아토피 치료와 자연치유력의 향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Table 6.
Correlation between questions about the cure effect of green interior.
Vz Ay B C D E

A 1
B .469** 1
C .688** .646** 1
D .818** .516** .696** 1
E .646** .573** .644** .653** 1

z V: Variance; A: Green interior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B: Green interior can cure an atopic dermatitis.; C: Green interior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resident.; D: Green interior improves psychological stability.; E: Green interior improves a spontaneous cure.

y Effect of green interior:4=extremely so, 3=so, 2=not so, 1= extremely not.

*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n = 112).

**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n = 112).

4. 그린인테리어 치유 효과와 감성어휘와의 상관 관계

그린인테리어 치유 효과와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 과(Table 7),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주거공간의 경우 그린인테 리어에 대한 다섯 가지의 효과와 세 가지의 감성어휘(쾌적감, 자연 감, 진정감)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그린인테리어 는 거주자들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와 진정감’과는 0.45이상 의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의 상관관계의 경우 ‘그린인테리 어는 거주자들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가 증가하면 감성어휘 는 ‘진정되는’ 쪽으로 가고, ‘그린인테리어는 거주자들의 작업능률 을 높일 수 있다’가 감소하면 ‘흥분되는’ 감성을 더 많이 가지는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 준다’와 진정감’과도 0.38이상의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은 그 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한 환경개선의 긍정적 효과가 심리적 안 정효과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 결과, 그린인테 리어의 치유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 대부분이 ‘쾌적감’, ‘자 연감’, ‘진정감’도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able 7.
Correlation between the cure effect and emotional word of green interior.
Variance Az B C D E

Pleasanty .263** .183 .258** .247** .302**
Natural .324** .213* .358** .260** .345**
Clam .383** .329** .450** .378** .363**

z A: Green interior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B: Green interior can cure an atopic dermatitis.; C: Green interior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resident.; D: Green interior improves psychological stability.; E: Green interior improves a spontaneous cure.

y Effect of green interior:-3=Very unpleasant; 3=Very pleasant.

*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n = 112).

**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n = 112).

적요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한 실내 주거공간의 심리 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심리 상태측정은 주의회복척도, 단축판 기분상태검사(POMS), 어의구 별척도법(SD법)으로 조사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 고 Pearson’s 상관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린인테리어에 대 한 일반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그린인테리어 조성시 경관디 자인과 식물의 종류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설치 투자비용은 200만원 미만이 80.93%, 유지관리비 10~50만원이 81% 이상이 었다. 또한 3가지 심리적 지표를 분석한 결과, 주의회복척도는 전체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고 답변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직업군별로 비교한 결과, 회사원보다 주부들의 주의회복 력이 더 높았으며 두 직업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분상태 검사는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그리고 혼란은 낮게, 활력은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그린인테리어 실내 주거공간에 대한 감성을 SD법으로 알아본 결과,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 분포를 나타냈다. 3가지 감성어휘에 대한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린인테리어 주거공간에 대해 모든 감정간에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린인테리어가 주는 효과에 대 한 응답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기정화효과, 거주자의 작업 능 률 향상 효과, 심리적 안정 효과, 그리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 는 효과에 대해 94% 이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린인테 리어효과의 문항간 상관분석 결과,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와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 는 0.818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그 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함으로써 거주자들의 심리적 안정과 부 정적 정서완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Notes

그린인테리어 : 공기정화 식물을 공간의 부피대비 2%로 투입, 원예장식기술 을 이용하여 만든 장식물(http://www.nihhs. go.kr).

Notes

그린힐링: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활용하여 오염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농도를 건강에 대한 안전 기준치 이하로 낮춰 숲 속처럼 상쾌하고 식물 의 잎의 녹색으로 시각적,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공간(http://www. nihhs.go.kr)

Note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 (PJ01021002201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 진 것임.

V.
V.

REFERENCES

Herzog TR, Maguire CP, Nebel MB. “Assessing the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 Environ. Psycho 2003;23(2): 159–170.
crossref
Hwankyungilbo co. Ltd. Directing ‘Green healing office’ with 2% of office plants. http://www.hkbs.co.kr 2014.

Im SB.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2009;Revised ed. Seoul Natl. Univ., Press; Seoul, Korea.

Jang HS, Kim KJ, Jung HH, Khalekuzzaman M, Yoo EH. Effect of green interior office on emotional psychology of huma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555–560.
crossref
Jo KD.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streetscape design model consideting sensibility ergonomics. MS thesis. WonKwang Univ. Iksan. Korea 2008.

Kaplan R, 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1989;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Kim EI. A study of sight-psychological effects by a color area of greenspace. J. Kor. Inst. Landscape Architecture 1998;26(1): 36–43.

Kim EN, Yun IG. Application of profile of the mood states(POMS) to study the mood state of workers dealing with manganese. Korean J. Occup Health 1998;37:5–16.

Kim JH, Han HR. A study on introducing of green interior design for cultural space inside seoul subway station. Korean Interior of Interior Design Journal 2007;9:204–209.

Kim JO. The impact of nature-based outdoor recreation settings on the healing tourists' attention restoration an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at 'forest healing' program. PhD Diss. Hanyang Univ. Seoul. Korea 2015.

Kim KM. Study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types of recreational forests. PhD Diss. Chungbuk Natl. Univ. Cheongju. Korea 2012.

Kim NR. A study on the mood states through color stimulus of indoor landscape plants. MS thesis. Kyungsung Univ. Busan. Korea 2012.

Lazaroff C. Nature offers solace in times of crisis. Environ. News Service. Retrieved 30.04.09 from http://www.ens-newswire.com/> ens/sep2002/2002-09-11-09.asp 2002.

Lee MS, Ka JN, Kim SA, Park MW, Lee JW, Park BJ. Effect of walking at the urban arboretums on psychological stability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1;14(5): 271–277.

Lee SH. The comparisons of Urban, green roof, and forest scenes by ration psychological indices. Seoul City Research 2011;12(3): 53–65.

Lee YH.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identity in apartment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4;11:63–73.

McNair DM, Lorr M. An analysis of mood in neurotics. J. Abnormal and Social Psycho 1964; 69:620–627.
crossref
Oishi Y, Tatumi M, Tagguchi H, Murai H. Fundament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encephalogram inspecting forest and grassland. J. Jap. Soc. Reveget. Tech 1996;21:212–222.
crossref
OsgoodCE. The mature and measurement of meaning. Snider JG, Osgood CE. In: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Chicago: IL, USA: Aldine Publishing Co; 1969.

Osgood CE, Suci GJ, Tannenbaum PH. The measurement of meaning. 1957;Univ. Illinois Press; Urbana. IL. USA.

Park BJ.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PhD Diss. Chungnam Natl. Univ. Daejeon. Korea 2010.

Park TE. A study on the user's attitude towards design criteria for healthy house. MS Thesis. Yonsei Univ. Seoul. korea 2004.

Richardson EA, Pearce J, Mitchell R, Kingham S.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green space and health. Public Health 2013; 27:318–324.
crossref
Shibata S, Suzuki N. Effect of foliage plant on task performance and mood. J. Environ. Psycho 2002;22:265–272.
crossref
Shin WS. The influence of forest view through a window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Scandinavian J. For. Res 2007;22:248–253.
crossref
Staats H, Kieviet A, Hartig T. “Where to recover from attentional fatigue: An expectancy-value analysis of environmental preference”. J. Environ. Psycho 2003;23(2): 147–157.
crossref
The Construction Economic Daily. “Citizen of Seoul, ‘Result in extending the Investment to improve the happiness index” http://www.cnews.co.kr 2013;9 9.

Van den Berg AE, Maas J, Verheij R, Groenewegen PP. Green space as a buffer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2010;70:1203–1210.
crossref
Yonhap News Agency. <Seoul, Greening the ‘leftover territory’> www.yonhap news.co.kr 200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