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eople Plants Environment

Search

Close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에 미치는 효과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Utilizing Healing Garden on Emotion Stability and Hand Dexterity of Chronic Mental Disorder Patients

Mi-Young Kim1, Woo-Kwun Park2,**, Seong-Yeol Kim3
Received September 25, 2015;       Revised January 28, 2016;       Accepted January 31, 201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e occupation therapy program via healing garden which is increasingthe emotional stability and hand Dexterity enhancement on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The current study included 2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ronic mental disorder under the rehabilitation service at E capital hospital in Seoul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0. All of patients participated with agreement in this study, then were divided randomly by experimental (n=17) and control groups (n=12). Therapeutic program was consisted with total 38 sessions, and performed once a week for 10 months.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one time), as well as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ur times) in a week. Control group was conducted only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ive times a week.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gram,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est and hand dexterity 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program.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person-centered therapy, then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However, hand dexterity of experimental group was markedly changed between before (112..4±50.9 sec) and after (82.1±40.6 sec) therapy. Moreover, the speed of performance in GPT was increased with rising therapeutic sessions, indicating the hand dexterity was improved after progra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using the healing garden is beneficial for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서론
서론
정신장애란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에 의해 반 영구적이거나 영 구적인 정신적 장애를 갖게 되거나 질병으로 인해 이전의 정신적 기능으로 되돌아 갈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Kim et al., 2003). 정 신장애는 사회 부적응이 길어지고 치료기간이 6개월 이상 요구되 는 만성화가 특성이므로 일반적으로 정신장애를 만성정신장애라고 한다.
만성정신장애인은 정신질환으로 입원과 퇴원이 반복되고, 심리 적 신체적 스트레스 대처능력이나 인간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어 사회활동이 제한이 된다. 정신장애인은 사회적 역할 수행의 능력 이 저하되어 사회적 참여가 제한되고, 그에 따라 직업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Min, 2006). 정신장애인의 인구대비 취업 률은 11.12%, 평균 근속기간은 58개월로 타 장애유형에 비하여 낮 게 나타났다(Health and Welfare, 2011). 만성 정신과 환자 실직 율이 70% 이상이라고 보고되고 있고(Goldstrom et al., 1982), 이 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직업사회재활이 필요하다.
Neucholson and Herfeld(1992)은 정신장애인은 외부 환경 자 극에 민감하게 반응 하고, 문제 해결 능력도 저하된 상태이므로 스 트레스 관리와 적절한 대처기술 능력이 만성화 예방에 중요한 역할 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인은 심리적으로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약물치료 후 잔류증상으로 인하여 직업재활 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직업재활과 직업유지 에 어려움을 겪게된다(Byun and Yoon, 2010). 그러므로 만성정 신장애인 직업 활동을 하기 위해선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환경을 줄 이고, 적절하게 스트레스를 조절 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이 필요하다. 이에 만성정신장애인이 직업을 가지고 다시 사회에 참여 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방안 교육과 직업수행능 력 증진 교육과 같은 다양한 직업재활프로그램이 요구된다. Su et al.(2007)는 직업을 유지할 수 있는 요소로 인지능력, 대인관계, 자 기효능, 동기부여, 습관적 요인, 주의집중력, 손의 수행력이 중요한 인자로 적용된다고 하였다. 특히, 손의 기민성은 작업에서 요구되 는 손의 수행능력과 주의집중력 향상에 중요한 요소로써 작용한다. 기존 연구에서 원예를 활용한 직업재활프로그램으로 손 기능 향상 에 대한 연구가 제시 되었다.
Cho(2003)는 텃밭을 가꾸고 작물을 심고 수확하는 것과 같은 원예활동은 근육 운동을 발달시키고, 식물의 종자를 심고 가꾸는 것과 같은 섬세한 동작은 소근육을 발달시킨다. Moon(2004)도 원 예활동프로그램이 손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 다. 하지만 물건을 조작하는 손의 기민성과 관련된 논문은 부족한 상태이다.
인간은 복잡한 도시환경보다 자연환경 속에서 친밀감과 안정감 을 느낀다. 이런 안정감은 스트레스 감소에 치유적인 요소로 인정 되어 자연경관을 갖춘 정원은 초기 질병치료에 필수적인 요소로 활용된다(Kaplan and Kaplan, 1983). 그래서, 최근에는 치료정 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 다. 원예작업치료는 ʻ원예ʼ와 ʻ작업ʼ의 합성어로, 원예를 통해 작물 재배, 장식과 같은 목적있는 작업활동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 적 회복을 돕는 치료적 방법으로 정의된다(Kim, 2007). 치료정원 (Healing Garden)은 신체적 증상 및 스트레스 감소,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한 환경으로 치료대상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통해 치 료를 시행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Son et al., 2006). 치료정원은 정원이 주는 물리적 효과와 더불어 대상자들의 기능적 회복을 위 한 요소를 갖추고 있다. 모든 건물의 이용과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 Demerchant and Beamish(1995)의 유니버셜 디자인의 개념으로 디자인되어 모든 연령대, 일반적 보행자 뿐만 아니라 휠체어 사용 자들과 같은 다양한 이동능력을 가진 사람들 모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인간과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교류를 촉진하는 치료 공간으로써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만성정신장애인이 특징적으로 겪고 있는 사회에서의 정서적 결핍과 장기 약물치료로 인한 손 기민성 저하로 직업 및 사 회로의 복귀가 어려워짐을 고려하여, 대상자들의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 증진을 유도하여 성공적인 사회로의 복귀를 돕기 위한 직업 전 재활에 목적을 두고, 10개월 동안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서울시립 E 병원의 낮병동에서 2010년 2월부터 2010 년 12월까지 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정신장애 환자 중 미국 정신 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에서 제시한 DSM-IV (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의 진단기 준에 따라 정신과 의사가 정신장애로 진단 후 경과한 정신질환을 갖고 있는 만성 정신장애 환자로서 지시수행이 가능하고 독립적으 로 보행이 가능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환 자 29명을 선정으로 하였다. 그 중 성별과 나이에 상관없이 원예작 업치료를 원하는 17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고, 일반작업치료만 받는 12명을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매주 1회씩 치료정원 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를 10개월동안 총 38회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고, 주 4회는 일반 정신장애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대조군 은 주 5회 일반 정신장애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subje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tegory No (%)
Experiment Control
Gender Male 4 (23.5) 7 (58.3)
Female 13 (76.5) 5 (41.7)
Age 20-30 2 (11.8) 3 (24.9)
31-40 7 (39.5) 5 (41.5)
41-50 5 (29.5) 2 (16.6)
51-60 3 (17.7) 2 (16.6)
Period (Month) 25-48 8 (47.1) 6 (49.8)
49-72 3 (17.6) 4 (33.2)
73-216 6 (35.3) 2 (16.6)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 설계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 설계
원예작업프로그램은 Rogers(1959)의 인간중심치료(personcentered therapy) 이론을 바탕으로 계획하였다. 인간중심치료는 인간에게도 스스로 자신의 길을 발견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잠 재능력이 있다는 기본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가 스스로가 모든 삶의 측면에서 다룰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이 있고 그 잠재력을 일 깨워 주도록 치료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여 개인의 독립과 통합을 목표로 환자 존재 자체에 관심을 갖는 치료이다. 원예작업치료에서 인간중심이론을 적용하기 위해 환자가 치료사와 함께 문제를 해결 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환자에게 자신의 결정에 대한 책임을 갖도 록 유도하고, 장애상태나 인지 기능 저하된 환자도 과제와 치료결 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치료사와 공감 형성이 치료과정 에서 중요하게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예작업을 통해 환자 자신의 문제해결 능력을 스스로 되찾고 인간적인 성숙을 할 수 있 도록 도와주기위해 환자 스스로 목표를 정한 후 채소재배, 코사지, 정원관리, 국화분재 등을 수행하게 하였고,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 서 환자의 참여도, 활동 난이도 등을 평가하고 상담을 진행하였다. 무엇보다 환자 스스로의 수행능력, 사회적 가치관이 향상 되도록 유도하였다(Fig. 1).
만성정신장애인의 작업에 대한 적응력 증진과 유지를 목적으로 손의 기민성과 수행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치료 정원에서 그룹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수행능력이 저하된 환자는 난이도를 조절하여 개인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치료정원은 대상 자들이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식물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공간으 로 구성되었고, 환자가 인내와 끈기를 갖고 활동을 종료 할 수 있도 록 중재 계획을 설정하였다. 채소재배(12회), 코사지(9회), 정원관 리(14회), 국화분재(3회) 등 4개로 분류하여 작업별 활동분석 (activity analysis) 후 활동적응, 수행기술, 습관화 순서로 목표를 설정하고, 개인에게 맞는 난이도 조절 후 적용하였다. 난이도 조절 은 수행 시 도움의 양, 도구 종류, 작업 공간, 활동순서 등을 고려하 여 조절하였다. 계절과 소재의 여건을 고려하여, 야외활동이 어려 운 겨울엔 실내에서 진행하였고, 그 외 프로그램은 치료정원을 활 용하여 진행하였다(Table 2). 대조군은 일반적인 작업치료 프로 그램을 통해서 정서적으로 감정의 분출 및 표현의 증가 적절한 표 현 형태를 통한 의사소통의 촉진 등을 훈련하고, 비즈 장식물을 만들어 전시회를 함으로써 잠재된 자원을 개발하여 인식을 개선하도 록 목표를 정하고 진행하였다.
Fig. 1
Programming the client-centered horticultural occupation theapy.
KSPPE-19-2_115_F1.jpg
Table 2.
Therapy activity program.
Step Therapy activity
Gardening Flower arrangement single ranch
Planting angraecum
Planting pansy, cockscom
Hydrocultural-ivy
Making container garden-herb
Making grass doll
Planting lily
Making container garden-scculent
Gardening education
Planting tulip
Making bonsai
Making flower basket
Gardening management
Making heart topiary
Corsage Making cosage carnation
Making cosage chlorophytum omosum
Making cosage rose
Flower arrangement- animal basket
Flower arrangement-heart
Flower arrangement bunch of fowers
Making lease 1,2,3
Making candy flower basket
Flower arrangement group
Vegetable culture Transplanting
Water management
Vegetable support-tomato, eggplant
Weed management
Vegetable culture education
Planting shallot
Transplanting cabbage
Shallot pancake
Prepare for the coming winter
Seed-gethering
Harvest shallot, cabbage
Garden photo displying
Bonsai Bonsai leaf picking
Bonsai branch cutting
Bonsai management
측정도구
측정도구

1) 스트레스 검사

1) 스트레스 검사

스트레스 검사는 자기보고식 검사로써 Cornell Medical Index (CMI) 중 심리적 이상을 표현하는 심리스트레스 척도(emotional stress scale: ES), 신체적 이상을 표현하는 신체스트레스 척도 (physical stress scale: PSE)를 각각 15문항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평가하였다. 각 항목별 증상이 있을 경우 “예”로 2점, 증상이 없을 경우 “ 아니오”로 1점을 주고 점수가 낮을수록 이 상 증상이 없다는 의미이다(Keeve et al., 1949).

2) 손 기민성 평가(Groved Pegboard Test: GPT)

2) 손 기민성 평가(Groved Pegboard Test: GPT)

Dr. Ronald의 연구를 바탕으로 Lafayette Instrument Company 에서 제작된 시각-운동 협응(visual-motor coordination)능력이 요구되는 기민성 검사도구로, 신경정신학적 평가와 시각・운동 협 응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무작위로 25개의 구멍에 열쇠모양(key peg)을 꼽는 평가로 소요된 총 시간을 합산하여 시간이 짧아질수록 기능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Ruff and Parker, 1993).
자료분석
자료분석
측정 자료 분석은 SPSS PC 13.0을 사용하여, 원예작업치료 프 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원예작업치료 그룹과 일반작업치료 그 룹과의 효과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의 전과 후 심리, 신체 스트레스, 손 기민성을 대응 표본 검정(paired t-test)을 하였다.
결과 및 고찰
결과 및 고찰
원예작업치료와 일반작업치료의 전후 스트레스 비교
원예작업치료와 일반작업치료의 전후 스트레스 비교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료 작업 전후 심리스트레스와 신체스트레 스에 통계적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기술적 통계 결과 로 대조군은 신체스트레스는 10.9 ± 12.3에서 10.4 ± 10.8로 감소 되었지만, 심리스트레스는 9.6 ± 8.3에서 11.2 ± 8.5로 증가되었다. 이는 만성정신장애는 기질적으로 인한 우울과 같은 증상들을 갖고 있어서 심리적 스트레스가 감소되기 어려우나 원예작업으로 신체 적 스트레스 점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에서는 신체스트레스 점수는 심리 스트레스 모두 점수가 감소되었고, 신체스트레스 점수는 14.3 ± 11.0에서 11.06 ± 7.5로 심리스트레스 보다 많은 변화가 있었다(Table 3). 원예작업치료의 결과 스트레스 대처가 향상되었다는 Kim et al.(2006)의 연구에서 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 지만 원예작업치료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심리・신체 스트레스 점수가 감소되었다. 이는 치료정원이란 공간에는 식물을 키우고 가꾸고 재배하는 원예활동과 오감이 자극되는 자연환경이 만성정신장애 의 정서적 안정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 에 치료정원을 활용한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 활동이 정서적 안정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원예작업치료와 일반작업치료의 전후 손 기민성 변화
원예작업치료와 일반작업치료의 전후 손 기민성 변화
실험군과 대조군의 작업 전・후 손의 기민성을 볼 수 있는 GPT 평가에서 대조군은 99.4 ± 38.7에서 98.6 ± 38.8으로 1초가 빨라 진 반면, 실험군은 112.4 ± 50.9에서 82.11 ± 40.6초로 30초 정도 빨라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able 4). 본 연구의 결 과는 Kim(2010)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손 기능영역에 원예작업치 료가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손 기민성은 만성 정신장애 환자의 직업기술 훈련과 직업 능력의 중요한 요소인 직업수행, 지구력과 주의집중력 증진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Lamb(1976)은 “환자의 능력에 맞게 조정된 직업재활이야말로 장기간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들이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지역사회 치료의 가장 중요한 초석이다”라고 표현하였다. 환자중 심이론을 토대로 환자들의 능력에 맞게 난이도를 조절하여 치료 중재를 적용하고, 단계적으로 적응, 수행기술 강화, 습관화를 목표로 조절되었다. 손기술이 요구되는 채소재배, 신체적 지구력과 힘을 기르는 정원관리, 손의 기민성과 동기 부여를 주는 코사지 꽃 장식, 여가 제공 및 작업 기술 향상을 주는 국화분재로 나누어 환자들이 직접 작업을 선택하여 진행한 것이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치료정원을 활용한 다양한 정원활동 프로그램이 손 기민성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3.
Comparisons of the outcome of ES and P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Program ES PSE
Control Pre 9.6 ± 8.3 10.9 ± 12.3
Post 11.2 ± 8.5 10.4 ± 10.8
Significance NS NS
Experiment Pre 13.7 ± 9.2 14.3 ± 11.0
Post 12.6 ± 8.3 11.06 ± 7.5
Significance NS NS

NSNonsignificant at 1% significant at P = 0.05. level.

Table 4.
Comparisons of the outcome of hand dexterity test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Program Dexterity test
Control Pre 99.4 ± 38.7
Post 98.6 ± 38.8
Significance NS
Experiment Pre 112.4 ± 50.9
Post 82.1 ± 40.6
Significance **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1 respectively.

** p = 0.01.

적요
적요
본 연구는 치료정원을 활용한 원예작업치료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해 실시하였다. 만성 정신장애 재활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독 립성과 자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치료의 핵심이다(O’Neill, 1984). 그래서 인간중심치료이론을 바탕으로 정원을 이용한 원 예작업 프로그램이 환자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살펴보고 자신의 욕구를 인지할 수 있는 현실감을 심어주었고, 4계절의 변화를 느 끼고 경험한 계절감이 만족감과 수행력의 동기부여를 주고 지속 적인 습관화를 지향하게 하는 치료도구가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안정과 손 기민성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정신장애인은 직업을 구하기 위해선 다양 한 사회기술, 대응능력, 직업기술, 습득된 직업 기술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런 다양한 영역 중에 하나라도 부족 하다면 지속적으로 일을 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만성정신장애 인이 사회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서비스 지원과 다양 한 치료적 접근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지역사회와 통합되는 직 업재활 모델의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정 원을 활용한 원예활동은 지역사회 내에서 만성정신장애인이 독립 적으로 생활하고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직업 전 장기 직 업재활프로그램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앞으로, 만성정 신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원을 활용한 단순화하면서 효율 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구가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REFERENCES
REFERENCES
Ⅴ.
Ⅴ.

Reference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80;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disorder (3 edition). Washington DC PMID: 10.1108/rr-10-2013-025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disorder (3 edition). Washington DC.

Byun, E.K., S.J. Yoon. 2010;Factors influencing jon stress in work experience of employees with mentally disabled.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9:447-46. PMID: 10.12934/jkpmhn.2010.19.4.447
Byun, E.K. and S.J. Yoon. 2010. Factors influencing jon stress in work experience of employees with mentally disabled.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9:447-46.
[Article]
Cho, Y.G. 2003;Horticultural therapy. Seoul : hakjisa
Cho,Y.G. 2003. Horticultural therapy. Seoul : hakjisa.

Chang, K.H 2006;A study on the vocational rehabilitaion strategy for psychiatric disabled. Master’s Diss, Chosun University
Chang, K.H. 2006. A study on the vocational rehabilitaion strategy for psychiatric disabled. Master’s Diss., Chosun University.

Demerchant, E.A., J.O. Beamish. 1995;Universal design in residental space. J. American Association of Housing Educations. 22:12-30.
Demerchant, E.A. and J.O. Beamish. 1995. Universal design in residental space. J. American Association of Housing Educations. 22:12-30.

Goldstrom, I.R. 2011;Manderscheid. The chronically mentally ill : a descriptive analysis from the uniform client data instrument. J. Community support Health and Welfare. 2011. Disabled survey
Goldstrom, I.R. 1992. Manderscheid. The chronically mentally ill : a descriptive analysis from the uniform client data instrument. J. Community support Health and Welfare. 2011. Disabled survey.

Jung, H.J 2002;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esteem and anxiety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high school. Master’s Diss., Konkuk University
Jung, H.J. 2002.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esteem and anxiety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high school, Master’s Diss., Konkuk University.

Keeve, B.A., A.J. Erdmann, I. Lorge, H.G. Wolff, H.B. Todd. 1949;The Cornell Medical Index : An adjunt to medical interview. J. Am. Med. Assoc. 140:530-534.
Keeve, B.A., A.J. Erdmann, I. Lorge, H.G. Wolff, and H.B. Todd. 1949. The Cornell Medical Index : An adjunt to medical interview. J. Am. Med. Assoc. 140:530-534.
[Article] [PubMed]
Kaplan, R., S. Kaplan. 1983;Cognition and environment: Functioning in an uncertain world. Praeger Publishers New York, USA.
Kaplan, R. and S. Kaplan. 1983. Cognition and environment: Functioning in an uncertain world. Praeger Publishers. New York, USA.

Kim, G.S., G.S. Sim, J.H Lee. 2003;Social intergration of mental disorders. Seoul : hakjisa
Kim, G.S., Sim, G.S., and Lee, J.H. 2003. Social intergration of mental disorders. Seoul : hakjisa.

Kim, Y.C., W.H. Na, S.W Jeong. 2006;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ress coping methods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7(3):191-206.
Kim, Y.C., Na, W.H., and Jeong, S.W. 2006.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ress coping methods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7(3):191-206

Kim, M.Y 2007;Effect of horticultural occpuation therap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in hemiplegia patient after stroke. Master’s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M.Y.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occpuation therap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in hemiplegia patient after stroke. Master’s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K.S. 2010;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using repetitive-floricultural-decor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in work performance and hand skills of the intellectually handicapped. Master’s Diss, Jeju National University
Kim. K.S. 2010.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using repetitive-floricultural-decor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in work performance and hand skills of the intellectually handicapped. Master’s Diss., Jeju National University.

Lamp, H.R 1976;Guiding principle for community survival, in community survival for long-term patients. Edited by Lamp HR. Jossey-Bass San Francisco. USA.
Lamp, H.R. 1976. Guiding principle for community survival, in community survival for long-term patients. Edited by Lamp HR. Jossey-Bass. San Francisco. USA.

Moon, S.J 2004;The effects of a horticultiral program on enhancing the job readiness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Master’s Diss, Chosun University
Moon, S.J. 2004. The effects of a horticultiral program on enhancing the job readiness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Master’s Diss., Chosun University.

Min, S.G. 2006;Recent psychiatry. 5th. ed. Seoul: il so kuk
Min, S.G. 2006. Recent psychiatry. 5th. ed. Seoul: il so kuk.

Necholson, E.R., R.W Herfeld. 1992;A dynamic vulnerability perspective on stress and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2:117-130. PMID: 10.1037/h0079307
Necholson, E.R., Herfeld, R.W. 1992. A dynamic vulnerability perspective on stress and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2:117-130.
[Article] [PubMed]
O’Neill, O. 1984;Paternalism and partial autonomy. J. Medical Ethics 10:173-178.
O’Neill, O. 1984. Paternalism and partial autonomy. J. Medical Ethics 10:173-178.
[Article]
Ruff, RM, SB Parker. 1993;Gender and age-specific changes in motor speed and eye-hand coordination in adults : Normative values for in the finger tapping and grooved pegboard tests. Percept Mot Skills 76:1219-1230. PMID: 10.2466/pms.1993.76.3c.1219PMID: 8337069
Ruff RM, Parker SB. 1993. Gender and age-specific changes in motor speed and eye-hand coordination in adults : Normative values for in the finger tapping and grooved pegboard tests. Percept Mot Skills, 76:1219-1230.
[Article] [PubMed]
Rhee, M.K., S.J. An, H. Lee. 2002;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developed by process-specific approach for chronic schizophrenics. J. Korean Clinical Psychology 21(1):13-28.
Rhee, M.K., S.J. An, and H. Lee. 2002.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developed by process-specific approach for chronic schizophrenics. J. Korean Clinical Psychology 21(1): 13-28.

Rogers, C 1959;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developed in the client-centered framework.’. In (Ed.) S. Koch.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PMID: 10.2172/4786310
Rogers, C. 1959.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developed in the client-centered framework.’ In (Ed.) S. Koch.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Son, K.C., S.H. Lee, O.H. Ko, E.K Kim. 1998;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r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the mental disorder. Kor J. Hort. Scl & Tech. 16(1):129-148.
Son, K.C., Lee, S.H., Ko, O.H., and Kim, E.K. 1998.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r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the mental disorder. Kor J. Hort. Scl & Tech. 16(1):129-148.

Son, K.C., M.Y. Jo, J.I. Song, S.I. Kim, S.S Lee. 2006;The actual professional horicultural therapy. Seoul : kubook
Son, K.C., Jo, M.Y., Song, J.I., Kim, S.I., and Lee, S.S. 2006. The actual professional horicultural therapy. Seoul : kubook.

Son, M.G 2006;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Korea Psychological Soci. 25(1):25-57.
Son, M.G. 2006.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Korea Psychological Soci. 25(1):25-57.

Su, C.Y., P.C. Chen, C.Y. Tsai, W.L. Su. 2007;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Second edition in Taiwanese persons with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1):108-118. PMID: 10.5014/ajot.61.1.108
Su, C.Y., P.C. Chen, C.Y. Tsai, and W.L. Su. 2007.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Second edition in Taiwanese persons with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1): 108-118.
[Article]
Trombly, C.A 1995;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six edition. Williams and Wilkins Co. Baltimore, USA. PMID: 10.1080/07380570802555091
Trombly, C.A. 1995.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six edition. Williams and Wilkins Co. Baltimore, USA.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