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시공과정에서의 사용자 관심 및 요구 분석:

-광교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s Interest and Needs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Process

Translated Subtitle (en) : -Focused on the GwangGyo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2):143-150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정 재만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363-170, Korea
*Corresponding author : jhungjm@empal.com
Received 2015 March 29; Revised 2015 April 21; Accepted 2015 April 22.

Abstract

The user’s interest and needs to participate in landscape is particularly strong in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They show the urge to take part in landscape construction process as a group through web communities recently. This study was planned in order to focus on this status and utilize various responses of the web community users.

For this purpose, Gwanggyo new town residents’ general federation cafe of the Internet portal ‘Naver’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459 posts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e was collected with 52 keywords and was used as analysis material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contents about lakes․streams and public facilities were the most in number among the posts. The residents were especially interested in qualitative issues, followed by worries about environmental influence and defect․poor. Secondly, the residents’ response rate had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osts’ motives and construction area. Response rate to the posts that posed problems were the highest, especially to the posts about structures. Lastly, after classifying the posts depending on each construction area, in case of structures there were many emotional criticisms, while paving had a lot of pointing out problems, and planting had many posts comparing to other places.

I. 서론

전통적으로 조경에 대한 이용자 참여는 계획 ․ 설계과정에서 요 구도나 선호도 조사로 행해지거나, 완공 뒤의 이용 후 평가(P.O.E.) 방식이 많았다. 본래 계획 ․ 설계과정에서 이용자 참여는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만족도를 높인다는 경영학적 마케 팅 개념이 들어 있다. 그러나 조경은 공공조경을 중심으로 발전하 면서 공공의 이익을 고르게 반영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있었다. 그 결과 세력권의 잠재 수요자 의견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표본 조사 방식의 설문조사가 많이 활용되었다. 그 밖에 아이디어 공모 전이나, 인구통계학적 변수별 대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 접(F.G.I.)이나 디자인 샤렛(charrette), 디자인 설명회 등의 방식 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사전 의견수집방법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이용 후 평가는 이용 중인 설계 환경에 대하여 이용자 가 설계 효용성을 검토하는 것(Zimring and Reizenstein, 1980)으 로서, 1960년대 건물성능 개선적 관점에서 개발되었다. 국내 도입 은 1980년대 이루어졌으며(Seo, 1998),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연구 는 주거공간 내부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거주시설에 대한 평가 를 하는 ‘거주 후 평가’ 부문과 비 주거공간의 환경적, 행태적, 문화 적, 생태적 측면에서 이루어 졌으며, 주로 도시 근린공원과 공원적 성격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왔다(Kwon, 2010). 1990 년대까지는 도시공원의 개발 및 활성화와 만족도 평가가 많았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공원 및 그와 유사한 공간들에 대한 평가 가 대부분이었다(Kim et al., 2000; Kim et al., 2003; Lee and Jo, 2005; Kwon et al., 2005). 이러한 이론적 개발에 힘입어 이용 후 평가는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용 후 평가는 시기적으로 이미 시공이 끝난 단계이므 로, 평가 결과 반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작은 시설물이나 좁은 면적의 공간을 넘어서는 대규모적인 개선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 서 비슷한 성격을 가진 다른 대상지의 시행착오를 예방하는 자료의 의미가 컸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조경사업의 전단계에서 이용자 참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계획․설 계나 유지관리단계보다 시공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빈약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여태까지 간과되어 온 시공과정의 이용자 참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택지개발지구의 조경 시공단계별 이용자 참여 유형은 Table 1과 같다. 현재 제도적으로 활용되는 시공단계의 주민참여 는 주민감독제, 준공검사 참여 등이 많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입주 자 서비스 및 홍보 차원의 이벤트성 행사로 의심될 만큼 형식적일 때가 적지 않다(GIUC, 2013). 반면 택지개발지구 조경은 생활공 간이자 부동산이라는 재산권과 관련되어 주민 관심이 다른 조경 사 업에 비해 적극적인 편이다. 따라서 주민들의 참여 의지도 높은 특 성이 있다. 특히 전체 건설공정에서 뒷부분에 몰려있는 조경공사는 입주 전후로 주민들에게 시공과정이 많이 노출된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관심은 당연히 한층 더 커진다.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그럼에도 공식적인 참여경로가 마땅치 않아 주민들의 참여욕구 는 제대로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Table 1과 같이 일부 적극 적인 주민들은 지자체나 사업주체에 개별적으로 민원을 제기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민원은 개인적인 목적성이 강 할 때가 많아 사업주체 입장으로서는 수용하기 힘들게 되거나, 공 정상 지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택지개발지구 조경에 대한 주민요 구도와 공공성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한층 더 밀도 있는 접근과 주민 참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신도시 택지개발지구 입주자 대상의 인터넷 커 뮤니티는 상당한 시사점을 가진다. 입주자 커뮤니티는 인터넷 환경 이 보편화된 2000년 초기 전후로 활성화되었다(Lim, 2003; Choi, 2008; Choi and Lee, 2008). 그 결과 판교, 파주운정, 청라, 김포한 강, 광교, 제2동탄 등 대부분의 신도시 개발과정에서 이러한 인터넷 커뮤니티가 관찰되며, 갈수록 그 활동이 활발하다.

인터넷 환경은 이미 보편화되었고 인터넷 커뮤니티는 점점 많은 입주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카페가 가진 공론장 으 로서의 가능성은 Lee and Jung(2009) 등의 연구에서 충분히 논의 되었기에 공론적 공간으로 볼 여지는 충분하다. 게다가 대개 입주 예정자를 가입대상으로 하고 있어 사용자 반응이 그대로 드러난다 는 점도 중요한 특성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계획․설계과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경 시 공과정에서 이용자 참여가 부족했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택지개발지구는 재산권과 연결되므로 계획․설계 과정에서는 잠재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시공 단계에서는 입주자들 반응에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터넷 입주자 커뮤니티는 자료원으로서 상당한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단지 입주예정자들이 인터넷 커 뮤니티에서 조경 공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서로 소통하며 반 응하는지를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앞으로 택지개발지 구 조경에서 사용자 반응을 탐색하는 자료로서의 활용도를 검토할 것이다. 또한 자료 분석을 통해 입주예정자들의 구체적인 반응방식 과 유형, 관심사 등을 밝혀, 향후 유사 택지개발지구의 시공 과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시코자 한다.

II.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1년부터 입주가 시작된 광교신도시를 선정하였다. 일반적으로 택지개발지구 조경사업에 대한 주민 반응 은 공사 준공 즈음부터이다. 그 때부터 지자체가 넘겨받기 전 2년간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2014년 말 전후로 수원․용인시가 경기도시공사로부터 인수한 광교신도시 공원․녹지는 연구대상으 로서 요건을 잘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광교 신도시 입주자 커뮤니티는 원래 몇 군데의 인터넷 포털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은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의 ‘광교신도시 입주자 총연합회’로 정리되었고, 활동 또한 가장 활발 하다. 회원은 2015년 3월 현재 14,140명인데, 광교신도시의 전체 가구수가 31,113가구이므로 과반수 이상 가구가 가입한 것으로 추 정된다. 따라서 네이버의 커뮤니티는 광교신도시에 대해 충분히 대 표성을 가진 인터넷 커뮤니티로 평가된다. 커뮤니티는 Table 2와 같이 8개 카테고리로 분류된 총 47개 게시판이 운영되고 있다.

General status of subject Internet community. (2015.3.21)

2. 표본추출 및 자료구축

1) 표본 추출

2015년 2월 15일 현재 커뮤니티의 게시글 총수는 11,329건으 로 집계되었다. 총 1만 건이 넘는 게시글 중에서 조경과 관련된 글 을 추출하고자 키워드 방식을 사용하였다. 키워드 선정은 광교신도 시의 조경사업에 참여한 경기도시공사 직원 3인과 시공사 3인 등 총 여섯 명에게 키워드를 질문하여 결정하였다. 대상지와 가장 어 울리는 키워드 20개를 응답토록 하였다. 중복된 것을 제외한 키워 드 총 수는 52개였다.

자료구축의 1단계로서 이 52개 키워드를 활용하여 게시글을 검 색하였다. 물론 이들 게시글은 서로 중복되는 글도 많았고, 내용이 조경과 전혀 관련이 없는데도 우연히 키워드가 들어간 글도 꽤 있 었다. 따라서 게시글 수가 10개 미만일 때는 키워드로서의 가치가 약하다고 여겨 제외하였다. 그 결과 총 39개 키워드에서 5,697개 게시글이 추출되었다. 이 게시글을 1차 대상으로 하였다. 이 글들을 Table 3과 같이 내용별로 유형화하여 주제, 구성요소, 활동으로 분 류하였다.

General status of subject Internet community.

2단계로 5,697개 게시글에서 서로 중복된 것을 빼니 965개가 남 았다. 모집단으로 볼 수 있는 총 11,329개의 게시글이 두 단계를 거 치는 동안 상당히 정제되었다. 그러나 키워드 방식으로 골랐기에 내용적으로는 조경과 관련 없는 글들이 여전히 많았다. 따라서 3단 계에서는 내용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자료로서의 가치가 약한 것을 제거한 결과 495개 게시글이 남았다. 따라서 전체 게시글의 약 4.4%가 조경과 관련된 게시글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다시 지 자체에 인수된 뒤인 2015년 이후의 게시글을 제거한 459개의 게시 글을 최종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2) 자료 구축

먼저 게시글의 작성연도, 조회수, 댓글수, 추천수를 기본정보로 활용하였다. 조회수는 게시글에 대한 1차적인 반응이며, 댓글수는 좀 더 적극적인 2차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추천(좋아요)은 잘 활용되 지 않아 조회수나 댓글 수에 비해 활성화된 정보는 아니지만, 공감 도를 알 수 있는 양적 지표이다.

게시 동기는 글쓴이가 글을 올리게 된 동기를 정보교류, 비평, 문 제제기의 3단계로 구분했다. ‘정보교류’는 조경시공과 관련되어 경험했거나 수집한 사실(fact)에 대해 본인의 주관적인 의견 없이 단순 기술한, 회원들간의 정보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글을 말한다. ‘비평’은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써 평가나 비판, 비교 등을 포괄한다. ‘문제제기’는 비판적인 내용으로서 다른 이의 경각심을 촉구하는 등의 공론화 시도를 말한다.

게시글이 담고 있는 구체적인 시공 공종은 시설물, 식재, 포장, 건축물, 전기통신, 호수․생태하천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에서 시설 물, 식재, 포장, 건축물, 전기․통신은 택지개발지구에서 이루어지는 조경공사의 공종을 따른 것이다. 호수․생태하천은 독립된 공종은 아니지만 ‘호수공원’ 비중이 워낙 크므로 생태하천과 함께 하나의 응답 문항으로 설정하였다.

사용자의 반응은 반응이유, 반응목적, 반응방식, 문제원인의 4 개로 구성하였다. 반응이유는 글 게시의 이유를 시공과정이나 결과 에 대한 하자․부실, 질적 문제, 환경 문제, 안전 문제 등의 4개 범주 로 구분했다. 하자․부실은 법적인 의미가 아니며, 일반인의 눈으로 볼 때 하자나 부실로 판단되는 것으로 정의했다. 질적 문제는 시공 자체에는 잘못이 없으나 질적 수준이 사용자의 요구도에 미치지 못 하는 경우이다. 환경적 문제는 시공물이 자연환경을 오염시킬 여지 가 있다고 사용자가 판단한 경우이며, 안전적 문제는 안전적인 문 제가 있거나 그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고 사용자가 판단한 경우를 말한다. 반응목적은 단순 비평, 공론화 및 여론 조성, 집단행동의 세 단계로 서열화된 척도이다. 반응방식은 개인의 주관적이자 감정적 인 반응을 비롯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는 경우, 다른 지역 의 조경공간과 비교하는 경우, 법적인 내용을 논의하는 경우, 대안 까지 제시하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문제원인으로는 제도 및 법의 미비, 계획․설계과정, 시공과정, 사업주체 및 지자체의 관리․감독이 나 행정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평가는 글에서 주로 언급한 대상물에 대한 평가를 말한다. 5점 척도이므로 ‘보통’을 기준으로 하여 부정적인 반응과 긍정적인 반 응의 정도를 내용분석으로 측정하였다(Table 4).

Items and measurement scale.

3.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과 유형화, 범주화 등의 과정을 거쳐 수 치자료로 바꾸었고, 양적 분석으로 그 속성을 분석하였다. 통계처 리는 통계 전용 소프트웨어인 SPSS(ver.18.0)를 사용했다.

먼저 게시글의 전반적인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으로 빈 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게시글에 대한 호응도 분석은 게시글에 대한 조회수, 댓글수, 추천수 정보를 비교 자료로 활용하여 분산분 석(ANOVA)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 출하여 각 비교집단을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게시글의 관심 영역과 비판유형과의 연관성 분석은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으로 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과정에서 유의도 검정이 필요한 때에는 사회과학 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0.05의 유의수준을 기준으로 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조경 시공과정에 대한 전반적 반응

2010~2014년까지 5년간 게시된 조경 시공 관련글의 추이는 Fig. 1과 같다. 커뮤니티 개설 첫해에 28개이던 게시글은 이듬해에 31개(2011)로 늘어났다. 이어서 2012년에 99개, 2013년에 155개 로 늘어났고, 2014년에는 146개가 되었다. 조경 관련 게시글 총수 는 459개로서 10821개 전체 게시글 중 4.47%였다.

Fig. 1.

Progress of the Number of posts.

각 게시글은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가진 사용자들의 자유 로운 글이다. 따라서 하나의 게시글이 언급한 조경 대상물은 하나 일 때도 있지만 여러 개일 경우가 많았다. 그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총459개 게시글이 대상으로 삼은 조경 시공물을 중복응답으로 집 계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게시글이 특정한 조경 시공과정을 대 상으로 하기보다는 호수․하천을 통틀어 언급한 글이 57.1%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광교 신도시에서 양적․질적으로 비중이 큰 호수공원에 대한 사용자들의 높은 관심을 잘 보여준다.

Construction area related to posts.

그 다음은 시설물로서 34.2%였다. 휴게, 놀이, 운동, 편익 등의 기능을 가진 조경시설물은 이용자들의 몸이 직접 접촉되는 시설이 기에 비교적 높은 관심의 대상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은 식재 (19.0%), 포장(18.5%)의 순이었다. 공원 화장실과 관리사무실 등 의 건축물은 6.1%였다. 공원등, CCTV, 스피커 등의 전기․통신은 5.7%였다. 건축물과 전기․통신의 낮은 반응은 다른 조경시설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양이 적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광교 신도시 입주자들이 조경시공과정에 대해 커뮤니티 에 올린 글은 호수․하천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고, 구체적으로는 조 경시설물에 대한 의견을 가장 많이 주고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글쓴 동기를 정보교류, 비평, 문제제기의 3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집계하였다. 그 결과 Table 6과 같이 ‘정보교류(42.0%)’가 가장 많 았다. 그 다음은 비평(37.9%), 문제제기(20.0%)의 순이었다. 따라 서 글쓴이들의 보편적인 동기는 공원의 조경에 대한 소개나, 질문, 기대 등인데, 이러한 유형은 인터넷 까페의 가장 보편적인 특성이 다. 특히 개인 블로그를 연구한 Lee and Sung(2015)가 서울숲 조 성 초기에 ‘기대’담론이 많았다고 보고했듯이, 식물재료 때문에 일 정 시간이 지나야 제대로 된 경관을 갖추는 조경의 특성상 미래에 대한 ‘기대’는 조경에 대한 공통적인 반응으로 판단된다.

Motives of posts.

37.9%의 게시글은 조경에 대한 개인적인 촌평이나 주관적․객관 적인 느낌, 만족과 불만족 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들 응 답은 일종의 비평으로 볼 수 있다. 그 밖에 20.0%의 게시글은 조경 에 대한 단점이나 문제점을 지적한 뒤, 다른 이의 의견을 구하거나 이에 대한 공동대응을 촉구하는 등의 문제 제기자 였다.

게시글이 조경시공과정의 어떤 점에 초점을 두었는지를 파악하 고자, 하자․부실 우려, 질적 수준 비평, 환경적 영향, 안전 문제 등으 로 구분하여 집계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7과 같이 질적 수준에 대 한 비평(35.4%)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조경공사장 인 근에 주택을 분양받은 글쓴이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 다. 즉 자신의 주거환경과 직결되는 조경공사에 대한 기대나 좀 더 나은 수준을 바라는 마음의 표현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Interest about construction process.

‘환경적 영향(27.7%)’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은 대상지에서 호수나 생태하천 등의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호수 공원의 ‘수질’ 문제는 시공과정에서부터 계속 언급되었는데, 이는 원래 5급수로서 안 좋았던 수질의 개선을 바라는 사용자들의 기대 심리가 컸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 밖의 환경적 문제로는 산림 훼 손, 생태계 파괴, 소음 문제 등이 주로 다루어졌다.

하자․부실 응답률(10.2%)은 조경표준품셈에서 정한 식재공사 하자율(10%)과 근접했다. 그러나 식재공사 하자는 준공 뒤에 지속 적으로 나타나므로, 이 응답률은 글쓴이들의 감정적 평가가 상당 부분 덧씌워진 것으로 판단된다.

2. 게시글에 대한 호응도

글의 동기별 호응도 파악을 위해 조회수, 댓글수, 추천수를 분산 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8과 같이 댓글 수 차이 만이 유의하였다. 다만, 추천수는 유의수준을 0.1로 낮추면 그 차이 가 인정될 수 있는 수준이었다.

Response rate of posts depending on their motives.

먼저 조회수는 정보교류(1,699)에 관한 글이 가장 많았다. 그 다 음은 문제제기(1,602), 비평(1,592)의 순이었다. 조회수 차이가 유 의하지 않은 이유는 ‘제목’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즉, 게 시글은 선택적으로 읽혀지는데, 대부분 제목을 통해 글 내용을 유 추하기 때문이다.

댓글은 글을 읽은 뒤의 즉각적인 반응이므로 글에 대한 호응도 를 알 수 있는 제일 큰 지표이다. 정보교류와 비평에 대한 댓글은 평 균 13-14건 수준인 데 비해 문제제기 글은 평균 20.55건의 댓글이 달려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많은 커뮤니티 회원들이 조경시공 과정에 대한 문제제기와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해 자신의 의사를 적극 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추천수는 ‘비평(3.88)’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문제제기 (2.62), 정보교류(2.27)의 순이었다. 비평은 조회수가 정보교류나 문제제기형 게시글보다 적음에도 추천 수는 오히려 더 많았다.

게시글의 관심 대상에 따라 호응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 하기 위해 시설물, 식재, 포장, 건축물, 전기․통신, 호수․하천의 6개 대상별로 조회수, 댓글수, 추천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Table 9와 같이 댓글수와 추천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Response rate depending on posted construction areas.

댓글 수는 건축물(25.4)이 두드러지게 많았다. 그 다음은 시설물 (15.9), 포장(15.6), 식재(13.7), 호수․하천(12.8)의 순이었는데, 이 들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기․통신(8.5)는 다른 대상에 비해 현 저히 적었다. 건축물의 많은 댓글은 공원 화장실과 연관되며, 위치 와 외부형태 등이 주된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교신도시 공원 공사 과정에 화장실이 하나의 님비 시설로 인식되어, 인근 주민들 의 기피심리가 심했던 것을 잘 보여준다.

추천수에서도 건축물(13.2)이 가장 많아 댓글 수에서의 적극적 인 반응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그 다음은 포장(5.8), 시설물 (4.2), 호수․하천(1.91) 등의 순이었다.

3. 게시글의 관심영역별 비판적 반응 유형

인터넷 커뮤니티 회원은 광교지역 입주자 혹은 입주예정자가 대 부분이다. 이들은 자신의 주거환경을 조금이라도 더 좋게 만들고자 공사과정 혹은 준공 이후에 적극적인 관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게 시판의 글들도 만족 반응 보다는 기대와 좀 더 나은 결과의 유도를 위한 비판적 반응이 상대적으로 많이 관찰된다.

게시글의 관심 영역별로 어떠한 비판적 반응을 보이는지를 파악 하기 위해 비판적 평가를 감정적 비판, 문제점 지적, 타사례 비교, 대안 제시의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조경시공의 관심영 역과 평가유형과의 연관성을 카이제곱검정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 과는 Table 10과 같이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Response types depending on posted construction areas.

건축물은 ‘감정적 비판(56.3%)’이 가장 많은 반면, 시설물, 식 재, 전기․통신 등의 나머지는 모두 문제점 지적이 가장 많았다. 이들 을 서로 비교해 보면, 포장은 ‘문제점 지적(65.5%)’, 식재는 ‘타사 례 비교(26.1%)’, 전기․통신은 대안제시(22.2%)가 상대적으로 많 았다.

건축물에서 감정적 비판이 많은 것은, 시공 과정에서 건축물 입 지에 대한 님비적인 민원이 많았던 것을 다시 한번 환기시켜 주는 결과이다. 포장은 공원에서 가장 쉽게 접하는 시설이라는 점에서 문제점 지적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에서 타사례 비교 (26.1%)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일반인들이 타 조경 소재에 비해 ‘나무’를 많이 알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교의 방식으로는 국내 의 다른 신도시 뿐 아니라 국외도 종종 언급되고 있는데, 이는 Lee and Sung(2015)의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어 사용자들 의 안목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IV. 적요

택지개발지구 조경은 유난히 시공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 근에는 입주자들이 웹 커뮤니티에서 적극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문제점을 같이 논의하는 등 다양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 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네이버에 있는 ‘광교신도시 입주자 총 연합회’ 게시판에 나타난 조경관련 게시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시글은 호수․하천과 시설물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광교신도시의 조경공사에서 호수와 생태하천의 높은 비중을 보여준다. 휴게, 놀이, 운동, 편익 등의 기능을 가진 시설물 또한 조 경 공간에서 가장 눈에 잘 띄기에 이에 대한 게시글 비중이 높은 것 을 판단된다. 내용적으로는 질적 수준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환경 적 영향과 하자․부실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둘째, 게시글의 동기별, 시공영역별로 다른 이용자들의 호응도 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게시 동기별로는 문제제기성 글에 대한 호응도가 높았다. 특히 건축물에 대한 게시글에 호응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교신도시 시공과정에서 공원화장실이 혐 오시설의 대상이 되어 그 위치와 외형을 두고 민원이 속출했던 것 을 잘 드러내는 결과로 해석된다.

셋째, 게시글을 시공영역별로 구분한 결과 건축물은 감정적 비 판이 많았고, 그 외는 모두 문제점 지적이 많았다. 그러나 상대적으 로 비교해 보면, 포장은 문제점 지적, 식재는 타 사례 비교가 많았다. 포장의 경우 가장 손쉽게 그 편리성과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기에 문제점 지적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의 경우 다른 비교대상 보다 타사례 비교율이 높은 것은, 이용자 입장에서 조경 소재 중 ‘나 무’에 대한 이해도가 비교적 높아 다른 사례지와 손쉽게 비교된 것 으로 판단된다. 그러한 비교가 객관적․합리적인 점도 있었으나, 수 목의 기능보다는 가격이나 이미지에 많이 치중하는 경향이 일부 관 찰된 점은 다소 우려스러운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반적으로 타 조경 사례지와 구분된 택지개 발지구 이용자들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입주자 들의 다양한 반응은 다른 공원녹지와 달리 그들의 생활환경이라는 점과 분양받은 아파트와 관련하여 자산가치의 연장선상에서 생각 하고 판단한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따라서 웹 커뮤니티의 게시글은 그 글의 공공성을 가려, 선택적 으로 수용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이용자들의 주된 관심이 어디 에 집중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행정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1개 사례지의 입주자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연구자들의 추가 연구로, 이에 대한 확인과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 다.

References

Choi JI. User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y of prospect apartment residents. MS thesis 2008. Yonsei University; Seoul:
Choi JI, Lee YS. A study on user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y of apartment housing. Proceeding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HA 2008. Korea Housing Assoation; p. 117–122.
GUIC. The progress plan of participation resident on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 2013;Seoul: :77–79.
Kim IH, Huh KY, Choi AH, Kim YI.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roofgarden at hospital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31(5):58–73.
Kim SW, Heo J, Park YJ. Post-occupancy evaluation for village park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0;27(5):94–106.
Kwon NA.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paju book city.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0;10(2):40.
Kwon OB, Chang MY, Lee EH, Lee JK.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grand stadium outside area.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05;8(2): 56–64.
Lee C H, Jung E U.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nternet Cafe Bulletin Board as a Public Sphere. Press Science Research 2009;9(1): 227–270.
Lee J, Sung J S. A Study on the Micro Discourse about Urban Parks in Blo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5;43(1): 29–39.
Lee SH, Jo SH. A study on the poe of the ecological park.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2005. March; p. 60–64.
Lim HC. Internet community of korea; general.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SA 2003;:501–507.
Seo YS. A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system of poe stud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8;14(12):123–132.
Zimring CM, Reizenstein JE. Post occupancy evaluat ion. Environment and behavior 1980;12(4):429–45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Stage Flow Participate type

Public Private

Planning / Design
  • Preference / Needs

  • Idea Competition

  • Charrette

  • Competition

  • Information Session


Construction
  • Construction inspector

  • Permit for completion

•Civil appeal

Maintenance •P.O.E. •Civil appeal

Transfer

Table 2.

General status of subject Internet community. (2015.3.21)

Items Content
Internet address http://cafe.naver.com/gwanggyonewtown
Established date 2010.1.16
Number of 14,140
Total posts 11,401
Total visitors 9,006,239
Component of contents*
  • Simple bulletin board

  • Problems that need solution

  • Council of policy

  • Gwanggyo new town premium plaza

  •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CCEJ)

  • Links related to Gwanggyo

  • Issues of each town

  • Federation

*

There are 8 categories, 47 lower bulletin boards total.

Table 3.

General status of subject Internet community.

Theme Element Activity



Keyword Case Keyword Case Keyword Case

1 Park (gongwon) 1176 Tree 133 Walk 133
2 Landscape architecture 92 Arbor 26 Relaxation 74
3 Scenery 94 Bench 18 Exercise 296
4 Ecology 145 Playground 40 Physical training 114
5 Pavement 68 Lake 1005 Bicycle 142
6 Environment 611 Stream 133 - -
7 Hydrophilicity 18 Waterfront 66 - -
8 Quality of water 90 Fountain 44 - -
9 Green area 226 Grass 49 - -
10 Planting 57 Flower 57 - -
11 Rest 17 Toilet 54 - -
12 Recreation 23 Chair 38 - -
13 Public space 17 Forest 80 - -
14 Park 312 Green-bridge 26 - -
15 Shade 29 Pedestrians road 52 - -
16 Nightscape 42 Trail 41 - -
17 - - Urban levee 23 - -
18 - - Rest area 36 - -

Sub total 3017 1921 759

Total 5,697

Table 4.

Items and measurement scale.

Items Respondent Scale
1. Basic data
  • Documentation date

  • Hit number

  • Number of replies

  • Number of recommendations

Ratio
2. Motive for posts
  • Sharing information

  • Criticism,

  • Posing problems

Nominal
3. Facilities
  • Public facility

  • •Planting

  • •Pavement,

  • •Structure

  • •Electrical communication

  • •Lake & ecological stream

Nominal
4. Response to utilization
  • •Reasons of response

  • - Defect/poor

  • - Qualitative problem

  • - Environmental problem,

  • - Safety problem

  • •Purpose of response

  • - Simple criticism

  • - Making a problem public/forming

  • public opinion

  • - Group action

  • •Ways of response

  • - Emotional response

  • - Pointing out a problem

  • - Comparing with other cases

  • - Reviewing legal requirements

  • - Suggesting an alternative

  • •Cause of problem

  • - Institution and law

  • - Plan/design

  • - Construction

  • - Business entity and local government

Nominal Ordinary
5. Evaluation Construction evaluation Likert

Fig. 1.

Progress of the Number of posts.

Table 5.

Construction area related to posts.

Frequency Percentage (%) Respondent rate (%)

Lake/stream 262 33.5 57.1
Public facility 157 20.1 34.2
Planting 87 11.1 19.0
Pavement 85 10.9 18.5
Structure 28 3.6 6.1
Electrical communication 26 3.3 5.7
Etc. 136 17.4 29.6

Total 781 100.0 170.2

Table 6.

Motives of posts.

Frequency Percentage (%)

Sharing information 193 42.0
Criticism 174 37.9
Posing problems 92 20.0

Total 459 100.0

Table 7.

Interest about construction process.

Frequency Percentage (%)

Qualitative problem 129 35.4
Environmental problem 101 27.7
Defect/poor 37 10.2
Safety problem 29 8.0
Etc. 68 18.7

Total 364 100.0

Table 8.

Response rate of posts depending on their motives.

Section Mean S.D. F P

Hit number Sharing information 1699.42 749.16 .915 .401
Criticism 1591.33 815.54
Posing problem 1612.07 861.13

Number of replies Sharing information 13.49 14.16 4.898 .008
Criticism 14.10 16.95
Posing problem 20.55 27.84

Number of recommendations Sharing information 2.27 5.64 2.395 .092
Criticism 3.88 9.15
Posing problem 2.62 5.76

Table 9.

Response rate depending on posted construction areas.

Subject Mean S.D. F P

Hit number Public facilities 1677.04 791.30 1.344 .245
Planting 1542.46 789.26
Pavement 1822.31 895.53
Structure 1532.61 759.42
Electrical/communication 1273.65 821.42
Lake/stream 1669.87 812.62

Number of replies Public facilities 15.94 20.16 2.315 .043
Planting 13.78 14.45
Pavement 15.67 18.40
Structure 25.44 33.46
Electrical/communication 8.59 12.05
Lake/stream 12.87 14.06

Number of recommendations Public facilities 4.26 7.35 10.796 .000
Planting .86 2.28
Pavement 5.83 9.32
Structure 13.22 18.02
Electrical/communication .29 .47
Lake/stream 1.91 5.66

Table 10.

Response types depending on posted construction areas.

Emotional criticism Pointing out of problem Comparing with other cases Suggesting an alternative Total

Public facilities 8 (14.3%) 29 (51.8%) 10 (17.9%) 9 (16.1%) 56 (100%)

Planting 4 (17.4%) 11 (47.8%) 6 (26.1%) 2 (8.7%) 23 (100%)

Pavement 4 (13.8%) 19 (65.5%) 2 (6.9%) 4 (13.8%) 29 (100%)

Structure 9 (56.3%) 4 (25.0%) 1 (6.3%) 2 (12.5%) 16 (100%)

Electrical/ communication 3 (33.3%) 4 (44.4%) 2 (22.2%) 9 (100%)

Lake/stream 14 (14.3%) 58 (59.2%) 14 (14.3%) 12 (12.2%) 98 (100%)

X2 ; 26.707, d.f : 15, P : 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