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1); 2014 > Article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계획지표 도출 및 중요도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a direction to fully reflect regional landscape resources in botanical gardens to be specialized in regions and to develop and prioritize botanical garden planning indexes drawn from regional landscape resources in order to ensure the most cost-effective botanical gardens construction given limited budget and workfor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atural resources(0.624)’ i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0.203)’ and ‘social resources(0.172)’ in the high-level category. In the mid-level category, ‘cultural resources(0.592)’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cological resources(0.454)’, ‘historical resources(0.408)’, ‘community resources(0.408)’ and ‘forestry resources(0.400)’. In the low-level category, ‘vegetation (0.688)’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village traditions(0.641)’, ‘festivals(0.581)’ and ‘forests(0.557)’ in that order. Overall, ‘vegetation(0.195)’ and ‘forests(0.139)’ scored high, followed by ‘meadow(0.058)’ and ‘wetland(0.056)’. ‘Village traditions(0.053)’, ‘mountains(0.052)’ and ‘topography(0.050)’ are also important indexes. Besides, ‘symbols of village(0.050)’, ‘legends(0.044)’ and ‘festivals(0.041)’ also need to be considered. To sum up, ‘ecological resources’ and ‘forestry resources’ under the ‘natural resources’ category, ‘village traditions’ under the ‘historical resources’ category, ‘legends’ and ‘symbols of village’ under the ‘cultural resources’ category and ‘festivals’ under the ‘social resources’ category should be used as major indexes whe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botanical garden construction based on regional landscape resources. In that context, it is recommended that a botanical garden planning to make use of regional landscape resources should be accompanied by efforts to tap into also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and ‘social resources’ so as to reflect regional identity in the botanical gardens.

서론

최근 삶의 질 향상과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여가활동 성향에 있어 지적욕구의 충족과 자연친화적인 만족감을 얻고자 하며, 그 장소로 식물원이 주목받고 있다. 식물원의 가치는 세계적으로 도시화와 산업화가 가속화되고 멸종위기에 있는 식물 종 보전 등 환경에 대한 정책이 변화되면서 더욱 중요하게 여겨질 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회·경제적 중요성과 지역의 연구에 관여하는 중요한 시설로 언급하고 있다(Baek and An, 2012). 이러한 현상 은 우리나라의 식물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급속한 성장을 거듭 해왔다. 그러나 양적인 증가 속에서 대부분 유사한 주제원과 특정 식물의 전시패턴을 보이고 있어 지역별 특성을 나타내지는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Kim et al., 2009).
특화되어 지역성을 반영한 독자적인 식물원은 그 지역의 정체성 (identity)을 내포하고 있는 상징적 공간으로서 지역의 활성화와 함 께 지역경관의 어메니티(amenity)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Park, 2009). 지금까지 식물원에 관한 연구는 크게 실 태나 행태분석(Kim, 2001; Baeg et al., 2003; Song and Ahn, 2008), 교육과 프로그램(Kim, 2008; Kim, 2012), 운영과 관리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2, 2010)의 3가지 영역에 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조성되어 있는 식물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계획 단계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우리나라 식물원의 대부분이 적은 예산, 전문인력 부족, 마스터플랜 부재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고(Kim et al., 2005), 투자대비 효율성이 낮을 뿐 만 아니라 제대로 조성하기까지 오랜시 간이 걸리는 사업이므로 지역성을 반영한 식물원을 조성하기 위해 서는 초기의 방향설정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똑같은 유형과 주제가 아닌 지역별 경관자원이 충분히 반영된 식물원으로서 다양성을 가 지기 위한 지역경관자원은 어떤 것이 필요하며 식물원 계획 시 비 중을 두어야 하는 우선순위에 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를 전제로 식물원마다 지역경관자 원이 잘 반영되기 위한 방향제공과 식물원 조성 시 비교적 적은 예 산과 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지역경관자원을 활 용한 식물원 계획지표를 개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크게 2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식물원이 반영하여 야 할 지역경관자원의 계획지표를 도출하고, 다음은 지표의 중요도 를 분석하여 상호중요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2. 연구방법

식물원 계획지표의 도출과정에서는 사례분석, 전문가 FGI (Focus Group Interview), 설문조사를 통한 검증성 평가의 방법 을 사용하였고, 중요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였다(Fig. 1).
Fig. 1.
Process of this research.
KSPPE-17-87_F1.gif

1) 사례분석

지역 경관자원을 반영한 식물원 계획지표의 항목을 도출하기 위 해 지역경관자원과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4; Kim and Yang, 2005; Lee et al., 2005; Ban et al., 2008; Lee et al., 2010)와 식물원의 계획에 관련된 선행 연구(Cho, 2003; Park, 2009)를 기초로 하였다.

2) 전문가 FGI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식물원에서 적용가능 한 지역경관자원 관련 지표의 분류체계에 대해 선행연구(Kim and Yang, 2005; Park, 2009)를 바탕으로 개략적인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설 정하였다(Fig. 2).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전문가 표적 집단 면접 법(FGI)을 2013년 9월 12일과 9월 19일 2차례에 걸쳐 실시하였 다. 전문가 집단은 식물원 계획 및 설계의 전문가인 교수 4인(조경 2, 산림 1, 원예 1), 전문가 3인(조경 2, 산림 1)과 지역경관에 관한 전문가인 교수 3인(조경 2인, 지역시스템 1인), 연구원 2인(경관 1 인, 공공디자인 1인)으로 구성하였다.
Fig. 2.
Indexes development framework.
KSPPE-17-87_F2.gif

3) 전문가 설문조사

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

선정된 지표는 본 저자를 비롯한 총 13명이 그룹 인터뷰를 거처 도출한 지표이나 이 분야의 더 많은 전문가에게 본 지표의 적합성 (suitability) 검증을 실시하여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문조사를 통한 일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평가지표의 적합성 을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이용하는 분석방법은 통계적 유의성 측 면에서 척도의 평균을 통해 단순 판단하는 것보다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Holt, 1997; Wong and Li, 2006). 설문조사의 내용구 성은 통계적 분석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설문조사에 참가한 전문가들 사이의 차이점이 관찰되고 추정될 수 있도록 응답의 정량화가 용이 한 5점 리커드 척도(1=매우 부적합, 2=다소 부적합, 3=보통, 4=다 소 적합, 5=매우 적합)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 은 2013년 10월 1일~10월 10일까지 식물원 계획 및 설계의 전문 가인 교수 11인(조경 5, 산림 3, 원예 3), 전문가 9인(조경 4, 산림 3, 원예 2)과 지역경관에 관한 전문가인 교수 6인(조경 4, 지역시스템 2), 연구원 4인(조경 1, 공공 디자인 1, 경관 2)으로 구성하였다. 조 사방법은 면접조사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부득이한 경우 E-mail을 통해 설문조사의 취지 및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부한 뒤 수 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된 결과값은 척도 3의 값을 기준으 로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결정기준은 95% 신뢰수준에서 유의수 준(p-value)을 기준으로 하였다.

중요도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식물원 및 지역경관 전문가 집단을 재선정하여 AHP기법을 통 한 지역경관자원의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AHP는 의사결 정을 함에 있어서 복잡한 문제 상황의 구성요소 간에 상호 의존성 을 그림으로 구조화, 계층화하고 논리적인 판단뿐만 아니라, 문제 의 분석에 있어서 주관적 판단과 System Approach를 잘 융합한 문제해결형 의사결정수법이다(Baek and An, 2012).
중요도 분석을 위한 AHP 설문은 앞서 도출된 평가항목지표로 구조도 작성 후, 1을 중심으로 쌍대비교를 하는 AHP 설문지를 작 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설문조사는 2013년 10월 16 일~10월 30일의 15일간 조경계획 전문가, 지역경관자원 전문가, 연구원을 대상으로 E-mail 설문조사와 직접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수행되어졌으며, 응답 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적절 하게 설명한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3.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자료의 계량적 분석을 통해 통계프로그램인 SPSS 18.0 for windows와 도출된 경관자원 지표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AHP 프로그램인 Expert choice 2006를 사용하여 도출된 지표의 중요도별 순위를 측정하여 분석의 과학성, 논리성, 타당성을 확보 하고자 하였다. 조사 설문 수는 총 45부를 배포하여 45부 모두 회수 하였으며 따라서 전체 회수율은 100%의 회수율이다. 단, 일관성 분석결과 사용된 자료는 일관성지수(Consistency Index)가 0.1보 다 작은 유효 표본인 38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제외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지표의 도출

기존의 연구에서 다양하게 제시되는 지역 어메니티 자원의 분류 에 의한 지역경관 요소와 식물원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계획지표의 항목을 종합하였다. 기존문헌 중 ‘마을놀이’, ‘문화예술 참여’에 관 한 항목은 경관자원과 어메니티 항목에서는 의미가 있었으나 식물 원에 관한 항목에서 중요치 않아 제외시키고 22개의 세부항목을 도 출하였다.
전문가 FGI를 실시한 결과, ‘산’과 ‘숲’은 분리시키고, ‘전통건 조물’의 명칭은 ‘역사건조물’로 변경하였고, 세부항목에서 ‘수계’, ‘숙박시설’, ‘마을관리’의 3개의 항목을 신설하였다. 지역경관자 원을 활용한 식물원의 계획 지표는 총 3개의 대항목과 8개의 중항 목과 26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Table 1).
Table 1.
Development of botanical garden planning indexes based on regional landscape resources.
Planning indexes Regional landscape resources Botanical garden

A B C D E F G

Natural resources Ecological resources Vegetation
Animals
Topography
Environmental resources

Water resources Streams
Water system Newly established through FGI by experts
Wetland

Forestry resources Mountains
Forests
Meadow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Historical resources Village traditions
People
Historic architectures

Cultural resources Folk religion
Legends
Symbols of village
Regional characteristics
Folk games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

Social resources Facilities resources Infrastructure
Housing facilities
Accommodation

Economic activity resources Speciality
Lodging facilities Newly established through FGI by experts
Food

Community resources Festivals
Village management Newly established through FGI by experts
Community activities

2. 지표의 적합성 검증

도출된 지표의 적합성 검증 결과를 토대로 유의수준(p-value)이 0.05보다 커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생태자원의 ‘환경자 원’ 지표와 문화자원의 ‘지역의 개성’ 지표는 제외하였다(Table 2). 최종적으로 24개의 지표를 지역경관자원을 반영한 식물원 계획지 표로 선정하였다.
Table 2.
Verification result of botanical garden planning indexes.
Regional Landscape Resources Mean SD P-value (p<0.05)

Ecological resources Vegetation 3.58 0.870 0.001
Animals 3.79 0.831 0.002
Topography 3.64 0.860 0.001
Environmental resources 2.94 0.728 0.054

Water resources Streams 4.20 0.761 0.000
Water system 4.13 1.042 0.000
Wetland 3.33 0.711 0.008

Forestry resources Mountains 3.52 0.823 0.004
Forests 3.48 1.005 0.025
Meadow 3.44 0.768 0.009

Historical resources Village traditions 3.92 0.812 0.000
People 3.92 0.812 0.001
Historic architectures 4.94 0.768 0.000

Cultural resources Folk religion 3.52 0.823 0.009
Legends 4.23 0.980 0.001
Symbols of village 3.58 0.870 0.001
Regional characteristics 2.60 0.855 0.130

Facilities resources Folk games 3.79 0.831 0.002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 3.64 0.860 0.001
Infrastructure 3.72 0.792 0.000

Economic activity resources Housing facilities 4.20 0.761 0.000
Accommodation 4.13 1.042 0.000
Speciality 4.13 0.571 0.000

Community resources Lodging facilities 3.30 0.877 0.036
Food 3.73 0.785 0.000
Festivals 3.80 0.761 0.000

3. 지표의 중요도 분석

AHP 설문지를 통해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여 각 계층별로 상대 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Table 3). 그 결과 상위계층(1 계층)에서는 ‘자연자원(0.62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사문 화자원(0.203)’, ‘사회자원(0.172)’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간계층 (2계층)에서는 ‘문화자원(0.592)’, ‘생태자원(0.454)’, ‘역사자원 (0.408)’, ‘공동체자원(0.408)’, ‘산림자원(0.400)’의 순으로 비슷 하게 나타났다. 하위계층(3계층)에 있어서는 ‘식생(0.688)’, ‘마을 전통(0.641)’, ‘축제(0.581)’, ‘숲(0.557)’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 체적으로 볼 때 중요도가 높은 것은 ‘식생(0.195)’, ‘숲(0.139)’이 높게 나타났으며, ‘초지(0.058)’, ‘습지(0.056)’가 다음 순이었다. ‘마을전통(0.053)’, ‘산(0.052)’, ‘지형지세(0.050)’도 계획 시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그 외 ‘마을 상징물(0.050)’, ‘전설 (0.044)’, ‘축제(0.041)’ 등의 항목도 중요한 지표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지역 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조성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서는 ‘자연자원’의 ‘생태자원’, ‘산림자원’과 ‘역사자원’의 ‘마을 전통’과 ‘문화자원’의 ‘전설’, ‘마을 상징물’과 ‘사회자원’으로서 의 ‘축제’ 등이 중요한 계획지표라 할 수 있다.
Table 3.
Priority analysis result of botanical garden planning indexes.
First layer Second layer Third layer Total

High-level Relative importance Mid-level Relative importance Low-level Relative importance Relative importance Priority

Natural resources 0.624 Ecological resources 0.454 Vegetation 0.688 0.195 1
Animals 0.135 0.038 11
Topography 0.178 0.050 7

Water resources 0.146 Streams 0.212 0.019 15
Water system 0.176 0.016 19
Wetland 0.612 0.056 4

Forestry resources 0.400 Mountains 0.210 0.052 6
Forests 0.557 0.139 2
Meadow 0.233 0.058 3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0.203 Historical resources 0.408 Village traditions 0.641 0.053 5
People 0.152 0.013 22
Historic architectures 0.207 0.017 18

Cultural resources 0.592 Folk religion 0.221 0.027 12
Legends 0.364 0.044 9
Symbols of village 0.415 0.050 8

Social resources 0.172 Facilities resources 0.253 Folk games 0.368 0.016 20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 0.202 0.009 24
Infrastructure 0.431 0.019 16

Economic activity resources 0.339 Housing facilities 0.373 0.022 14
Accommodation 0.237 0.014 21
Speciality 0.391 0.023 13

Community resources 0.408 Lodging facilities 0.581 0.041 10
Food 0.168 0.012 23
Festivals 0.252 0.018 17

4. 고찰

지역의 고유한 어메니티를 자원화(Lim, 2010)하려는 움직임 속 에 지역경관자원을 구성하는 요소 중 자연자원은 중요한 계획지표 로 평가되었다. 이것은 Park(2009), Kim(2012)의 연구결과와 마 찬가지로 자연자원은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하 다. 식물원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비슷한 주제원이 아닌 광역적인 경관자원과 미시적인 경관자원에 어울리는 식생의 선정이 가장 중 요한 지표이다. 숲은 피톤치드, 삼림욕의 기능과 더불어 야생동물 의 서식처 제공, 능선과 계곡의 지역경관을 부각시킬 수 있는 주요 계획지표이며, 초지는 야생화와 더불어 오픈스페이스로서의 역할 과 함께 최근 들어 수목에서 초본위주의 가치가 높아가고 있는 식 재패턴을 고려한다면(Park, 2013) 더욱 지역경관자원으로 가치가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습지는 종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어메니티 자원요소와 친수공간으로서 그 지역에 가능한 습지식물과 함께 주 변에 사초과, 화본과 식물로 지역의 경관성을 나타나기에 충분히 의미가 있는 계획지표로 판단된다.
식물원 계획 시 역사문화자원은 오로지 식물만을 전시하여 관람 자와의 관련을 맺지 못하는 평면적인 전시방식에서 마을전통, 마을 상징물, 전설 등의 지역적인 맥락과 문화적인 컨텍스트를 전달할 수 있는 계획요소로서 적절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지표로 의 미를 갖게 된다. 그 지역만이 가지는 역사문화자원을 추출하되 이 것의 가장 중요한 것은 경관과의 조화로서(Byeon and Kim, 1991), 융합적 컨텐츠 제공 기술의 스토리나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Park, 2009).
전반적으로 사회자원과 관련되어 지역성을 나타나는데 먹거리, 특산물과 함께 방문자의 체험을 공략하는 계절별 축제, 직접체험 가능한 이벤트 등을 통해 다각적인 전시방식을 꾀할 때 식물원의 질적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중요한 계획지표이다. 따라서 지역경 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의 계획 시 기존의 자연자원 뿐만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을 담을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과 함께 사회자원을 수 용할 수 있는 노력이 수반되어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적요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를 전제로 식물원마다 지역경관자원이 잘 반영되기 위한 방향제공과 식물원 조성 시 비교적 적은 예산과 인 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계획지표를 개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위계층(1계층)에서는 ‘자연자원(0.62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역사문화자원(0.203)’, ‘사회자원(0.172)’의 순으로 나타났 다. 중간계층(2계층)에서는 ‘문화자원(0.592)’, ‘생태자원(0.454)’, ‘역사자원(0.408)’, ‘공동체자원(0.408)’, ‘산림자원(0.400)’의 순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하위계층(3계층)에 있어서는 ‘식생 (0.688)’, ‘마을전통(0.641)’, ‘축제(0.581)’, ‘숲(0.557)’의 순으 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요도가 높은 것은 ‘식생(0.195)’, ‘숲(0.139)’이 높게 나타났으며, ‘초지(0.058)’, ‘습지(0.056)’가 다음 순이었다. ‘마을전통(0.053)’, ‘산(0.052)’, ‘지형지세(0.050)’ 도 계획 시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그 외 ‘마을 상징물(0.050)’, ‘전설(0.044)’, ‘축제(0.041)’ 등의 항목도 중요한 지표로 판단되 었다. 따라서 지역 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조성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자연자원’의 ‘생태자원’, ‘산림자원’과 ‘역사자원’의 ‘마을전통’과 ‘문화자원’의 ‘전설’, ‘마을 상징물’과 ‘사회자원’으 로서의 ‘축제’ 등이 중요한 계획지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경 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의 계획 시 기존의 자연자원 뿐만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을 담을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과 함께 사회자원을 수 용할 수 있는 노력이 수반되어 할 것으로 사료된다.
V.
V.

REFERENCES

Baeg DL, Jeong YM, Byeon JS. A study for use conditions and activation plan of Chungnam Keumkang Arboretum. J. Kor. Environ. Res. & Reveg. Tech 2003;6(6): 14–24.

Baek KS, An KW. An analysis of main inhibitors of management and operational aspects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arboretum.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15(5): 393–399.

Ban YU, Baek JI, Kim MA, Yoon JO. Classifying rural landscape types and developing rural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using expert delphi survey method. J. Kor. Soc. Rural Planning 2008;14(3): 53–61.

Byeon MG, Kim SH.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amenity structure for the creation of urban. J. Kor.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91;18(4): 101–115.

Cho W, Chang CS, Min SH, Oh KI. Master plan for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Arboretum. J. Kor.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2003;31(5): 96–107.

Holt GD. Construction research questionnaires and attitude measurement: relative index or mean. J. Construction Procurement 1997;3:88–96.

Kim JP. On using activation of botanical garden and arboretum in Korea. MS Thesis 2001;Seoul: Seoul Univ.

Kim SR. The present status of botanical gardens and action plan for their educational applications in Korea. MS thesis 2008;Suwon: Sungkyunkwan Univ.

Kim SH, Yang BE. A study on rural landscape planning based on rural village landscape - A case study on Yacksan at Wando -. J. Kor.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2009;37(3): 82–90.

Kim SY. Analysis of users' cognition on programs of local events and botanical gardens as amenity resource.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15(3): 201–207.

Kim TJ, Hong YS, Ahn SH, Byun YH. A study on the trend of private arboretum in Korea. J. Kor. Institute For. Rec 2005;9(1): 49–59.

Kim YS, Ha SG, Park CY. Important and specialization plan of indicators by the function of the arboretum. J. Kor. For. Soc 2009;98(4): 370–37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tudy on the effective creating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rboreta and ecological forests. Research Report 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2;86–15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tudy on the long-term development proposal for arboreta and ecological forests based on regional context in Korea 2010;Forest Research Institute; 11–219.

Lee DK, Ok JH, Hong CH, Yoon SW, Park CS, Yoo HS.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 J. Kor. Soc. Rural Planning 2005;11(2): 21 –34.

Lee JJ, Choi SH, Kim SH. A study on the selec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of amenities. J. Kor.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2010;38(1): 25–38.

Lim WH. Prospects and direction of creating forest therapy complex.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0;13(6): 67–73.

Park EY. Master plan for Jeju Sanghyo Botanical Garden using local landscape resources. J. Kor. Soc. Rural Planning 2009;15(4): 173–182.

Park EY. A study on Karl Foerster's Garden from the viewpoint of planting design. J. Kor. Institut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3;31(3): 38–4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inding of rural amenity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site-applied RAR planning techniques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Research Report o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04;63–81.

Song DO, Ahn YH. Improvement plan and present condition of botanical garden and arboretum in Korea.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08;4(3): 37–42.

Wong J, Li H.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for the selection of intelligent building systems. Building and Environment 2006;41(8): 1106–1123.
crossre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189 View
  • 0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