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elf Esteem and Stress Coping Behavior of Children in Low-income Bracket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2):95-99
대구가톨릭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원예조경학부
Faculty of Horticulture and Landscaping, Catholic Univ. of Daegu, 38430, Korea
*Corresponding author: yune1004@cu.ac.kr
이 논문은 2014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입니다.
Received 2015 November 03; Revised 2016 March 28; Accepted 2016 March 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ies on low-income class children’s self-esteemand stress cop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10 children were sampled from low-income class children using H Community Child Center in K City, and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m two sessions a week and a total of 12 sessions from July 4 to August 22, 2014. Based on the factors of creativity in horticultural activities,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designed to induce fluency through learning the importance and use of plants, flexibility through observing the growth of plants, originality through breeding plants, elaborateness through decorating with plants, and sensitivity through classifying plants. Ultimately, the activities were designed to induce positive changes in low-income class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For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this study assessed the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a self-esteem scale and a stress coping scale. The results of assess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self-esteem level was enhanced significantly from 27.9±3.9 before the activities to 30.7±2.3 after on the average. Their stress coping behavior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49.0±5.6 before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54.3±5.2 after. In particular,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active coping behavior and social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ies for low-income class childre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emotional development.

Ⅰ. 서론

아동들의 발달특징에는 신체적 발달, 인지적 발달, 정서적 발달,사회적 발달 측면이 있으며 모든 측면은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골고루 발달해야만 된다(Lee, 2005). 그러나 저소 득층 아동은 일반 가정 아동에 비해 의료적, 교육적, 정서적 방임 등 의 전반적으로 부적절한 환경에 노출이 많이 되어 있다(Lee and Lee, 1996). 저소득층 아동은 빈곤이라는 경제적인 장애요소 외에 결손이라는 장애요소를 통해 보호와 양육에 있어 가족과 사회로부터 방임되고 있는 실정이다(Lee, 2006). 이로 인해 저소득층 한 부 모가정, 조손양육가정 및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높은 스트레스에 노 출되어 있으며 불안, 우울, 두려움, 분노, 당황, 흥분, 부정, 근심, 소 외된 기분, 압도당하는 기분, 사기 저하 등의 상태불안 증세가 나타 나는 경우가 많다(Byun, 2005).

Lesner and Hillman(1983)은 출생에서 11세까지를 ‘창의성의내적인 풍요(creative internal enrichment)’기간으로 기본적인 인 생기술을 배우고 자신의 인성을 발달시키는 시기라고 하였다(Ha, 1999). 따라서 아동기 창의성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원예활동은 창의성 개념을 가장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 창조적으로 사고하고, 실천능력까지 갖춘 창조 적 태도를 기를 수 있다(Lee and Kwack, 2010). 원예활동은 원예 소재를 통해서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혹은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이로 말미암아 육체적 재활과 정신적 회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Kim, 2003). 자연은 인간을 직접적으로 교육하는 힘이 있으므로 아동의 신체발달과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서는 아동들이 자연과 접 촉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Montessori, 1964)고 하였다. 아동에 게 원예활동은 여러 가지 원예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긴장, 좌절, 공격성을 완화시키는 기회가 되며, 창의성과 자기표현 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Morgan, 1993). 특히 원예활동은 저소득 층 아동의 상태불안 감소와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Son, 2013) 지적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도 효과적이라고 하였다(Cho and Kim, 2012). 그리고 주말자연학 교를 통한 생태적 원예활동은 아동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의 변화 를 보였다(Nam et al., 2010).

Won(2006)은 Guilford(1950)의 인지적 창의성 기준에 따라원예활동의 창의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식물의 중요성 과 이용에 관한 활동 내용을 통해 아동들은 유창성, 표현력, 언어능 력 등이 증진되고 다양한 식물들의 생활사와 생태상을 경험함으로 써 사고발달에 도움을 주며 식물의 번식을 위해 다양한 지식을 창 조해 내고 학습하는 과정과 적절한 환경조절 등을 해 주는 과정에 서 사고의 독창성을, 원예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꾸미기 활동을 통 해서 정교한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 신진대사를 증진시켜나갈 수 있 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창의적 원예활동을실시하여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효과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기초생활수급자인 저소득층의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저소득 층의 자녀 기준은 보건복지부의 저소득 가정지원 방안을 근거로 4 인 가족 기준 월 소득 148만원 이하, 재산 50백만원 이하인 18세 미 만의 자녀로 두었다. 대상자 선별은 K시에 소재한 H지역아동센터 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저소득층의 자녀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1 차로 선별하였고 2차로 본인의 참여 의사여부를 질문하여 참여의지 가 있는 아동 10명(남5명, 여5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10±1.7세이었다. 가족형태는 편부, 편모가정이었다.

2. 연구도구

1) 원예활동 프로그램

저소득층 아동에게 2014년 7월 4일부터 8월 22일까지 주 2회씩총 12회기의 창의적 원예활동을 실시하였다. 장소는 지역아동센터 내 교육실(약 15m2)에서 오후 3시 30분부터 4시 30분까지 60분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복지원예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1인 과 사회복지사 1인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매 회기 참여대상자들은 책상에 둘러앉아 식물과 관련된 이야기를 자유롭게 나누면서 원예 활동을 수행하였다.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 행동능력의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창의적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Won(2006)이 분석한 원예활동의 창의성 요소를 적 용하여 유창성은 식물의 중요성과 이용에 관한 활동내용으로, 융통 성은 식물의 성장과정을 관찰하는 것으로, 독창성은 식물의 번식과 정으로 활동을 하도록 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자 하였다. 그리 고 창의성의 하위항목인 정교성은 식물을 이용한 꾸미기 활동으로, 민감성은 식물을 분류하는 활동으로 실행하여 저소득층 아동의 스 트레스 대처행동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고자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성의 구성요인인 유창성을 기르기 위해 새싹요리, 꽃꽂 이, 압화, 꼴라쥬, 꽃물들이기와 같은 활동으로 식물이 식용으로도 이용되지만 다양한 장식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서 식물이 얼마나 소중하고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알 수 있게 하였 다. 그리고 융통성을 기르기 위해 새싹채소 기르기, 다육식물 기르 기로 식물의 성장과정을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독창 성을 기르기 위해 식물의 번식인 파종과 삽목을, 정교성을 기르기 위해 포푸리주머니, 압화카드, 꽃다발, 색모래 테라리움 등의 꾸미 기 활동을 하였으며, 다양한 소재를 공통적인 요소에 의해 분류해 보게 하면서 민감성이 잘 충족될 수 있도록 창의적 원예활동 프로 그램을 실행하였다(Table 1).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performed for this study.

2) 평가도구

창의적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의적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 척도와 스트레스 대응척도를 사 용하여 평가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Self esteem scale; SES)는 Rosenberg(1965)가 개발한 검사를 Jeon(1974)이 번안한 것으로 모두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하며 Rosenberg(1965)에 의하면 척도의 Cronbach α =0.87이다. 스트레스 대응척도는 Min and Yoo(1998)가 개발한 척도를 Park(2001)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항에 대처하는 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로 공격적, 적극적, 사회지지 추구적, 소극 회피적 대처행동의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Min and Yoo(1998)에 의한 각 영역 별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공격적 대처행동은 0.831, 적극적 대처행동은 0.802,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은 0.789, 소극회피 적 대처행동은 0.701이었다. 평가는 복지원예사와 사회복지사 지 도하에 자가측정을 하였다.

3.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비모수 검정을 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본 연구는 창의적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원예활동 실시 전 과 후에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응척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자아 존중감의 변화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7.9±3.9점에서 실시 후 평균 30.7±2.3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4)(Table 2). 이는 주말 자연학교의 원예활동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 가 있었고(Nam et al., 2010)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학교 적응력을 높여 주었다(Yun and Yoo, 2011)고 하였듯이 본 연구에서도 원예활동을 통하여 식물이 자라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살아있는 생명체인 식물에 대한 소중함 을 알게 됨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아졌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저소 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원예활동 결과물은 부모님과 선생님 께 칭찬을 받을 수 있는 매개체가 되면서 자신감과 긍정적인 정서 에 영향을 줄 수 있었으므로 각각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는 식물의 돌봄을 통해 책임감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고 한 연구결과 (Seo et al., 2013)와도 일맥상통한다.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변화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9.0±5.6점에서 실시 후 평균 54.3±5.2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5).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4가지 하위 항목별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공 격적 대처행동은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13.6±4.4점에서 실시 후 평균 14.3±3.8점으로 향상되었지만 유의성은 없었고(P=0.399) 적극적 대처행동은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11.2±1.7점에서 실시 후 13.6±1.3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7). 사회지지 추구 적 대처행동도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10.6±2.6점에서 실시 후 12.2±2.2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49). 소극 회피적 대 처행동은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13.6±3.2점에서 실시 후 14.2±2.4 점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259)(Table 3). 아동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Lee, 2006; Go, 2006)는 연구결과는 있지만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효과를 검정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그러나 현실요법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초등생 어머니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에는 효과가 있었다 (Hwang et al., 2007)고 하였다. 현실요법은 모든 행동이 내부요 인인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고 강조(Glasser, 1985)하는데 본 연구 는 식물의 번식과 성장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체험해보게 함으로써 나의 행동에 의해 식물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그래 서 나의 책임에 의해서 주변이 변화될 수 있다는 현실요법과 본 연 구의 창의적 원예활동은 프로그램 적용단계에서 유사한 점이 있었 기에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Choi(2014)는 초등교사의 지시적 교수법과는 달리 식물의 식재 및 이식, 만들기 등 자신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 것이 스트레 스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주었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의 창의적 원예 활동의 효과와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었다.

The results of changes in self-esteem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The results of changes in stress coping behavior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일반적인 원예활동의 효과성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되어 왔지만 본 연구는 아동에게 중요한 인지적 창의성 교 육을 원예활동에 접목하여 실행한 것에 의의가 있다. Won(2006) 이 인지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원예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특성적 연 구를 시도한 것에 본 연구자는 아동을 대상으로 직접 연구하여 그 효과성을 구명하여 Won(2006)의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그 러나 본 연구의 명확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통제집단을 두고 실험집단과의 비교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해야 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제집단을 두지 못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 창의적 원예활동의 다양 한 영역의 효과성을 구명하여 과학적인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해나가야 할 것이며 이는 나아가 교육프로그램으로써 교육현장에 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Ⅳ. 적요

본 연구는 창의적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K시 에 소재한 H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 10명을 대상 으로 2014년 7월 4일부터 8월 22일까지 주 2회씩 총 12회기의 창 의적 원예활동을 실시하였다. 창의적 원예활동은 원예활동의 창의 성 요소를 적용하여 유창성은 식물의 중요성과 이용에 관한 활동내 용으로, 융통성은 식물의 성장과정을 관찰하는 것으로, 독창성은 식물의 번식과정으로, 정교성은 식물을 이용한 꾸미기 활동으로, 민감성은 식물을 분류하는 활동으로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설계하였다. 창의적 원예활동 프로그 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의적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 척도와 스트레스 대응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7.9점에서 실시 후 평균 30.7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변화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9.0점에서 실 시 후 평균 54.3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적극적 대처행 동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저소득층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 원예활동은 아 동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Byun K.H. 2005. A stress and physical medical science. Hakjisa 10–15. Seoul:

Byun, K.H. 2005. A stress and physical medical science. p.10-15. Hakjisa, Seoul.

Cho S.K., Kim H.J.. 2012.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on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 self esteem and stress.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2)299–310.

Cho, S.K. and H.J. Kim. 2012.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on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 self esteem and stress.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2):299-310.

Choi Y.H. 2014.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job stress, ability to react and job satisfaction classified by working women. PhD Diss Catholic Univ. Of Daegu, Gyungsan, Korea:

Choi, Y.H. 2014.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job stress, ability to react and job satisfaction classified by working women. PhD Diss., Catholic Univ. Of Daegu, Gyungsan, Korea.

Glasser W. 1965. Reality therapy; a new approach to psychiatry. Harper and Row New York: 10.1177/001112876601200413.

Glasser, W. 1965. Reality therapy; a new approach to psychiatry. Harper and Row, New York.

Go S.G. 2006. The impa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plants with sce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tres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Go, S.G. 2006. The impa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plants with sce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tres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Guilford J.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44–454. 14771441. 10.1037/h0063487.

Guilford, J.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44-454.

Ha J.H. 1999. The developmental study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from childhood to youth. PhD Diss., Sung Kyun Kwan Univ Seoul, Korea:

Ha, J.H. 1999. The developmental study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from childhood to youth. PhD Diss., Sung Kyun Kwan Univ., Seoul, Korea.

Hwang H.J., Lee Y.A., Song J.E., Son K.C..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upon reality therapy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the change in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mother.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5(3)268–276.

Hwang, H.J., Y.A. Lee, J.E. Song, and K.C. Son.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upon reality therapy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the change in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mother.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5(3):268-276.

Jeon B.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Journal of Yonsei Unions 11107–129.

Jeon, B.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Journal of Yonsei Unions 11:107-129.

Kim H.Y. 2003. Horticultural therapy theory and practice.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research center Daegu, Korea:

Kim, H.Y. 2003. Horticultural therapy theory and practice.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research center, Daegu, Korea.

Lee E.J., Lee J.Y.. 1996. Th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poverty. J.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17(2)195–206.

Lee, E.J. and J.Y. Lee. 1996. Th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n poverty. J.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17(2):195-206.

Lee E.Y., Kwack H.R.. 2010. Development of gardening program on the effect of increasing creativity based on sparks of geniu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6(2)67–92.

Lee, E.Y. and H.R. Kwack. 2010. Development of gardening program on the effect of increasing creativity based on sparks of geniu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6(2):67-92.

Lee M.J. 2006.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self-conception and learning ability of poor broken family’s children. MS Thesis Daegu Catholic Univ.; Daegu, Korea:

Lee, M.J. 2006.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self-conception and learning ability of poor broken family’s children. MS Thesis, Daegu Catholic Univ., Daegu, Korea.

Lee S.H.. 2005. Children welfare theory. Hakhyunsa Pajoo, Korea:

Lee, S.H. 2005. Children welfare theory. Hakhyunsa, Pajoo, Korea.

.
Lee S.K. 2006.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sociability and stress of children.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 Daejeon, Korea:

Lee, S.K. 2006.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sociability and stress of children.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 Daejeon, Korea.

Lesner W., Hillman D.. 1983. A developmental schema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7103–114. 10.1002/j.2162-6057.1983.tb00980.x.

Lesner, W. and D. Hillman. 1983. A developmental schema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7:103-114.

Min H.Y., Yoo A.J.. 1998.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coping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7)83–96.

Min, H.Y. and A.J. Yoo. 1998.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coping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7):83-96.

Montessori M.. 1964. The montessori method. S chocken Books New York, USA:

Montessori, M. 1964. The montessori method, S chocken Books, New York, USA.

Morgan B. 1993. Growing together: Activities to use in your horticulture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Pittsburgh: Pittsburgh Civic Garden Center Pennsylvania, USA:

Morgan, B. 1993. Growing together: Activities to use in your horticulture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Pittsburgh: Pittsburgh Civic Garden Center, Pennsylvania, USA.

Nam J.E., Jang E.J., Park C.H.. 2010. Effect of the ecologic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f the nature schoo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ity.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8(2)314–318.

Nam, J.E., E.J. Jang, and C.H. Park. 2010. Effect of the ecologic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f the nature schoo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ity.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8(2):314-318.

Park J.A.. 2001. Relationship between coping with stress in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behavior problems. MS Thesis, Yonsei Univ Seoul, Korea:

Park, J.A. 2001, Relationship between coping with stress in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behavior problems. MS Thesis, Yonsei Univ., Seoul, Korea.

Rosenberg M.. 1965.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New York, USA:

Rosenberg M. 1965.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New York, USA.

Seo R.M., Lee M.J., Oh W.. 2013. Effect of after-school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e0income familie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5)261–266. 10.11628/ksppe.2013.16.5.261.

Seo, R.M., M.J. Lee and W. Oh. 2013. Effect of after-school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e0income familie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5):261-266.

Son J.J. 2013.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tate anxiey and self-regulation of children in low-income bracket. MS Thesis Daegu Catholic Univ.; Daegu, Korea:

Son, J.J. 2013.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tate anxiey and self-regulation of children in low-income bracket. MS Thesis, Daegu Catholic Univ., Daegu, Korea.

Won Y.I. 2006.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program for improving cognitive creativity.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Won, Y.I. 2006.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program for improving cognitive creativity.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Yun E.J., Yoo Y.K.. 2011.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aptive capacity of the low income layer child.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4(1)17–22.

Yun, E.J. and Y.K. Yoo. 2011.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aptive capacity of the low income layer child.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4(1):17-2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performed for this study.

No. Program Plant name Creativityz
1 Vegetable sprout growing Raphanus sativus F2, O, S
2 Pressed flower fan making Hydrangea macrophylla F1, E
3 Canapé sprout growing and eating Brassica campestris Medicago sativa F1, E, S
4 Transplantation and vegetative propagation of succulent plants Aeonium decorum F2, O, S
5 Kneading herb soap making Simmondsia chinensis E, S
6 Expressing thanks with flower arrangements and pressed flower cards Rosa hybrida Myosotis sylvatica F1, E, S
7 Various grain collage Vigna aureus F1, E, S
8 Terrarium using color sand Haworthia fasciata F2, E, S
9 Fragrant potpourri bags Lavandula angustifolia Rosa hybrida F1, E, S
10 Grass doll (friend’s face) making Zoysia spp. F2, O, E, S
11 Handkerchief dyeing with flower stain Rosa hybrida F1, E, S
12 A bouquet for encouragement Chrysanthemum morifolium F1, E, S

zElements of creativity (F1: Fluency, F2: Flexibility, O: Originality, E: Elaboration, S: Sensitivity).

Table 2.

The results of changes in self-esteem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Item Before-CHAPz After-CHAP P
Mean (score) SDy Mean (score) SD
Self-esteem 27.9 3.9 30.7 2.3 .004**

z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Standard deviation.

Significant at **P<0.01 by Wilcoxon signed-rank test.

Table 3.

The results of changes in stress coping behavior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Stress coping behavior Before-CHAPz After-CHAP P
Mean(score) SDy Mean (score) SD
Aggressive 13.6 4,4 14.3 3.8 .399NS
Active 11.2 1.7 13.6 1.3 .007**
Social support seeking 10.6 2.6 12.2 2.2 .049*
Passive avoidance 13.6 3.2 14.2 2.4 .259NS
Total 49.0 5.6 54.3 5.2 .005**

zCreativ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Standard deviation.

NSNon 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0.05, **P<0.01 by Wilcoxon signed-rank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