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ion of Juvenil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6):509-513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이 성주, 변 상해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unselling,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06907, Korea
*Corresponding author: jm9004@svu.ac.kr
Received 2015 September 2; Revised 2015 December 16; Accepted 2015 December 19.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HAPS)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ion of juvenile. As one group pre-post designed trial, ten participants (5 males, 5 female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16 HAPS within 4 months. The programs were performed 1 time per week from September 3 to December 17. The HAPS were composed of making vegetable garden, making herb candle, planting a floricultural crops, and pressed flower. The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ion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S between before and after. In the self-esteem, mean value of juvenile showed high score 52.10 after HAPS compared to 42.60 before. And, self-esteem of all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juvenile. In school life adaption, mean value of juvenile was higer score of 71.00 after HAPS than that of 46.60 before HAPS. And, school life adaption of all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students.

I. 서론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함과 동시 에 또래와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해나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자 아존중감의 긍정적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 감은 자신에게 생각하는 능력과 삶의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기본적 인 역경에 맞서 이겨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 다(Lee and Choi., 2012).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높은 성취를 위하여 노력하는 부분이 더 적극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남들 에게 좋은 인상을 주어 남을 감동시켜야 한다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의 모습을 수용해 주기를 바라며 자신의 감정을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Branden, 1992). 청소년기에 자아존중감이 낮을 때 학교 부적응이나 비행, 낮은 학업성취 등 여 러 문제들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Yoon, 1999). 그렇기에 청소 년기에 높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는 환경제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또래관계에서 이 부분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이 루어지는 필요하다.

청소년의 하루 일과 중에서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은 가족과 보 내는 시간보다 많은 것이 현실이다. 학교에서 또래와의 관계가 어 떤가에 따라 학교생활의 적응도 달라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학교 생활적응은 인지적, 정의적, 도덕적 발달을 위한 학교 학습의 관점 과 상황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며, 학교생활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교육적 여건을 학습자 자신의 요구에 알맞게 변 화시키거나 바르게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Kim, 2010). 그렇기 에 학교생활적응은 또래관계가 중요한 중학생에게는 매우 중요하 다고 할 수 있다. 학교생활에 부적응 등의 정서적인 문제들은 성인 이 되고 나서도 지속적인 부적응 행동을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이 다. 요즘은 학업적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교우관계뿐 아니라 교사와 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청소년에게 자신이 가진 강점을 인식하고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생활적응에 도 움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원예활동은 식물을 매개체로 자신이 직접 만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식물과 나 사이의 정서적인 교류를 통하여 심신의 활력을 제공한다(Choi, 1999). 또한, 원예활동을 경험한 후 성취에 따른 기쁨과 긍지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Nam, 2003). 원예활동은 21세기에 직면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중요한 해결 책 중 하나로 폭을 넓혀가고 있기에(Son et al., 1997) 청소년에게 적 용시킴으로써 자신에 대한 탐색뿐 아니라 교우와의 관계, 성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계모색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사전연구에서 Mun(2013)은 원예활동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Son(2015)은 중학생에게 원예치료는 충동성을 감소시키고, 자 아존중감을 회복시키고, 긍정적 사고, 그룹간의 활동으로 의사소 통, 표현력 등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Yoon(2010)의 연구에서는 원예치료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 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Kang(2012)은 방과 후 원예치료 프 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안정적 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원예치료는 청소년에게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줄여 정서적 안정과 심신의 성장을 주어 학교적 응력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Choi, 2003; Jeon,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 램을 수행하여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A중학교 2학년 학교 부적응 청소년(학교부적 응학생은 2014년 1학기에 1회 이상 무단결석, 무단조퇴를 한 학생) 중에서 담임교사가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추천한 중학생 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을 하 고, 참여의사가 있는 10명의 남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평균 15세), 실험설계는 ‘동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이다(Table 1).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 그램을 실시한 후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변화의 차이를 비 교하는 실험연구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2014 년 9월에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설문지를 통해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해당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후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주1회 60분간 총 16회기를 실시 하였다. 사후검사는 본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인 12월 사전검사와 동일한 설문지로 실시하여 양적분석을 하였으며, 매 회기 참여대상 자들은 책상에 둘러앉아 원예활동을 수행하였다. 원예활동팀은 주 진행자 1인, 보조진행자 1인, 담당교사 1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 구에서 사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Table 2와 같다.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n this study.

Horticultural activities used in this study.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 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 시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측정하였다. 평가는 담당교사가 하였다.

1) 자아존중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 1967)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Yoon(2010)이 청소년 에 적용하여 사용한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 신의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스스로 보고 하는 자기보고식 측정도구 이며, 전체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 등 4가지 하위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커트식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증감이 높다 는 것으로 나타낸다. Cronbach's alpha=.843이다.

2) 학교생활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질문지 표준화한 학교생활적응 척도(school adjustment scale)를 Yoon(2010)이 사용한 것을 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해서 지각하고 있는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이며, 전체 32문항 중 긍정문항 24문항, 부정 문항 8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부정문항 8문항은 역으로 하여 점 수를 산출하였다. 하위범주로는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 교규칙 등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리커트 척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 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32이다.

3. 분석방법

평가를 통하여 측정된 자료를 이용해 사전·사후를 나누어 SPSS 15.0 for Windows(SPSS Inc., Chicago, Illinois, USA, 2003)을 이용하여 통계분석되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자아 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순 위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p<.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원예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 전·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비교 하였을 때 Table 3과 같이 자기존중 자아존중감이 평균 11.00±.94 에서 13.40±.84로, 타인과의 관계 자아존중감이 9.90±.74에서 12.80±1.03으로, 지도력 자아존중감이 10.60±1.43에서 12.80± 1.32로, 자기주장 자아존중감은 11.10±1.29에서 13.10±1.39로 증가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전체적으로도 사 전 42.60±2.46에서 사후 52.10±1.39로 증가하였고, 유의한 의미 가 있는 변화를(z=-2.84, p<.01) 보여줌으로써 원예활동이 중학생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원예활동은 다양한 재료들을 토대로 오감을 자극하여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 기에, 청소년에게 자신감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Son, 2015).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on the change of self-esteem.

원예활동을 통하여 생산된 차, 채소, 꽃이나 스스로 만든 작품을 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느낌으로써 자기존중,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 자기주장 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Yoon(2010)은 원예 활동 프로그램이 매 회기마다 결과물을 만들어냄으로써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Kang(2012), Lee and Choi(2012), Mun(2013), Han et al.(2013), Jeon(2015)의 연구에서도 원예활동이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테라리움, 접시정원, 수경재배 등을 만 들면서 자신이 애칭을 붙이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장, 단점에 대 해 표현하고 발표하여 자아상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가졌으며, 또래관계와의 관계를 통하여 서로 협력하고 다른 구성원에 의해 가 치를 인정받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 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샌드위치만들기, 초만들기, 사탕바구 니만들기를 하면서 담당교사 및 또래에게 선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타인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이라고 판단되며, 꽃꽂이나 컵꽃이에서 자신이 원하는 꽃을 선택하여 자신 이 원하는 방식으로 구성해보는 것을 시도해봄으로써 자기주장이 향상되고 의사표현의 어려움이 적어진 것이라고 추론된다. 원예활 동 프로그램은 식물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자신을 개방하는 것이 쉬 웠으며, 타인과의 관계형성에서도 방어하기보다는 즐거움을 경험 하고, 스스로가 만든 작품에 대한 칭찬과 지지를 통하여 자신감을 회복함으로써 긍정적인 자기인식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2. 원예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학교생활적 응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청소년 전체 대상자의 학교생활적응은 실시 전 46.60±2.41점에서 실시 후 71.00±2.45점으로 24.4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 의성이 나타났다(z=-2.84, p<.01). 이러한 결과는 학생이 교사와 의 관계를 잘 유지해야 학교생활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음을 의미 하는 것이다. 교사와 함께 허브차를 마시고 배양토를 만들고 허브 가지치기 등을 하면서 같이 땀 흘리고 기쁨을 나누면서 교사와의 관계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경험했다고 할 수 있다. Kim(2010), Yoon(2010)은 원예활동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하위 항목별로 살펴보면, 교사관계는 실시 전 11.30±1.16점에서 실시 후 15.70±1.06점으로, 교우관계는 실 시 전 13.70±.95점에서 실시 후 19.50±.85점으로, 학교수업은 실 시 전 10.50±.85점에서 실시 후 16.80±1.23점으로, 학교규칙은 실 시 전 11.10±.99점에서 실시 후 19.00±.82점으로 증가하였다. 학 교수업 및 학교규칙 영역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는데, 원예 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배양토 만들기, 꽃포장하기, 액자 만들기 등 자신이 해야할 일을 하고, 규율을 지키는 활동을 함으로써, 학교 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 부여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Choi (2007)는 학교생활적응에 원예활동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식물 재배 경험들이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하여 안정성, 사교성 등 학 교생활에 어려움을 덜 느낀다고 하였다. 교유관계도 향상되었는 데, 집단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할 때 자료준비를 함께 하고 서로 협 력하는 과정에서 또래를 이해하고, 소중함을 느끼며, 상호관계를 원활하게 맺으면서 친구관계도 긍정적인 벼화가 나타난 것으로 사 료된다. Son(2015), Jeon(2015)의 연구에서도 원예활동이 대상 자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이었으며, Kang(2012)도 원예활동 이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건강한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가져온다고 하였다. 매 회기마다 다양한 원예활동인 허 브 가지치기, 화관 만들기, 가지 접목하기, 사탕바구니 만들기 등의 활동을 하면서 서로 도와주고, 관심사에 대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면서 자신에 대한 긍정성이 향상되고, 일상생활도 긍정 적인 방향으로 좋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Differences in 'School life adjustment' between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IV. 적요

본 연구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 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서울시내에 있는 J중학교 다니는 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9월 3일부터 12월 7일까 지 주 1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압화작품 만들기, 테라리움, 수경재배, 꽃바구니, 식물도장찍기, 샌드위치, 컵 꽃꽃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자아존중 감과 학교생활적응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아존중감 은 프로그램 전 전체 평균 42.60에서 프로그램 후 전체 평균 52.10 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학교생활적응은 전체 원예활동 전 46.60점에서 원예활동 후 71.00점으로 유의하게 (p<.01) 향상되어 원예활동이 청소년의 학교 학습 관점과 상황에 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예활동이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충동성 감소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으로 향상된 기 존 연구결과와 같다. 본 원예활동은 식물을 직접 만지고 만들면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질 수 있었으며, 향기가 있는 식물들을 통하 여 아로마 효과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특히 청소년들 에게 성취감은 학교생활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자신이 직접 디자인하고 만들고 선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만족감이 더욱더 높게 나타났다. 원예활동은 청소년의 긍정적인 정서함양과 사회성 발달에 큰 효과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앞으로도 식물을 매개로 활동적이며 감성적인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 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도 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References

Branden N. The psychology of self-esteem. 1992. Banam Books; NY. USA:
Choi IH.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peer relations and school life sati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MS Thesis. Dankook Univ. Cheonan. Korea 2007.
Choi YH. Development and its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1999.
Choi YH.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to reduce anxie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MS Thesis. Silla Univ. Kimhae. Korea 2003.
Coopersmith S. The anteceedents of self-esteem. 1967. W.H. Freeman; San Francisco, USA:
Han MA, Han KH, Suh JK. Effects of garden activities program to the school stress, self-esteem, environment attitude and recognition of the middle-school girl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 16(6)347–352.
Jeon YS.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depression of fifth grade students in elemetary school. MS Thesis. Silla Univ. Kimhae. Korea 2005.
Jeon HK.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ujustment of one-parent family children. MS Thesis. Hanseo Univ. Seosan. Korea 2015.
Kang SY.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steem, social-supporter and stres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2012.
Kim YS.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on the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teenager in broken family.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010.
Lee MJ, Choi BJ.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academic stress of the youth.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 15(2)93–98.
Mun YJ.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on the str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a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Dankook Univ. Cheonan. Korea 2013.
Nam SM.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to middleschool pupils. MS Thesis. Seoul Women’s Univ. Seoul. Korea 2003.
Son KC, Park SK, Boo HO, Baek KY, Lee SH, Huh BG. Horticultural therapy. 1997. Sewon Press; Seoul. Korea:
Son MI.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tress of juvenile. Ph.D. Wonkwang Univ. Iksan. Korea 2015.
Yoon HK.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upon REBT group counseling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the reduction of impulsivity in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010.
Yoon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Myongji Univ. Seoul. Korea 199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n this study.

Group Age Characteristics

A 15 Out of control
B 14 Mild and high competitive
C 15 Timid and softhearted
D 15 Low self-esteem
E 15 Mild and outgoing
F 15 Mild and low self-esteem
G 15 Inappropriate friendship
H 15 Low self-esteem
I 14 Mild and outgoing
J 14 Mild and grasping

Table 2.

Horticultural activities used in this study.

Session No. Programs Purpose

Beginning 1 Introducing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and pre test Introduce
2 Packing rose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3 Making a stamp using vegetable (potato, carefree, sweet pepper et al.) Improvement of self-esteem
4 Making flower basket formed puppy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5 Water culture (Spathiphyllum cannifolium) Improvement of self-esteem

Middle 6 Marking a dish garden Improvement of self-esteem
7 Making terrarium Improvement of self-esteem
8 Making press flower (key holder)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9 Making potpourris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10 Flower arrangement in a cup Improvement of self-esteem
11 Herb cutting in the tray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Later 12 Making corolla (rose, chrysanthemum, hydrangea, baby’s breath)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13 Making sandwich (herb et al.) Improvement of self-esteem
14 Making candle (herb) Improvement of self-esteem
15 Making a basket with candy Improvement of self-esteem
16 Party and final test Improv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 self-esteem

Table 3.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on the change of self-esteem.

Item Pre-HAPSz Post-HAPS Score difference Ranks N MRx z p

M±SDy M±SD

Self-esteem 11.00±0.94 13.40±0.84 2.4 Negative 0 .00 -2.89** .004
Positive 10 5.50
Interpersonal relationship 9.90±0.74 12.80±1.03 2.9 Negative 0 .00 -2.85* .044
Positive 10 5.50
Leadership 10.60±1.43 12.80±1.32 2.2 Negative 0 .00 -2.97** .003
Positive 10 5.50
Self-assertive 11.10±1.29 13.10±1.39 2.0 Negative 0 .00 -3.16** .002
Positive 10 5.50

Total 42.60±2.46 52.10±2.42 9.5 Negative 0 .00 -2.84** .004
Positive 10 5.50
z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y

Mean±standard deviation

x

Mean Ranks

*

significant at p<.05,

**

significant at p<.01

Table 4.

Differences in 'School life adjustment' between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Item Pre-HAPSz Post-HAPS Score difference Ranks N MRx z p

M±SDy M±SD

Teacher-relations 11.30±1.16 15.70±1.06 4.4 Negative 0 .00 -2.83** .005
Positive 10 5.50
Relationship as friends 13.70±0.95 19.50±0.85 5.8 Negative 0 .00 -2.85** .004
Positive 10 5.50
School class 10.50±0.85 16.80±1.23 6.3 Negative 0 .00 -2.83** .005
Positive 10 5.50
School rules 11.10±0.99 19.00±0.82 7.9 Negative 0 .00 -2.82** .005
Positive 10 5.50

Total 46.60±2.41 71.00±2.45 24.4 Negative 0 .00 -2.84** .004
Positive 10 5.50
z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y

Mean±standard deviation

x

Mean Ranks

**

significant at p<.01